[DB를 열다] 1963년에 선보인 개량된 입식 부엌

[DB를 열다] 1963년에 선보인 개량된 입식 부엌

입력 2013-02-14 00:00
수정 2013-02-14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전통적인 한국식 주택은 방과 부엌이 분리돼 있었다. 부엌은 취사와 난방을 동시에 하는 곳이었다. 그러니 부엌을 방 안에 둘 수가 없었다. 솥을 걸어 놓은 아궁이에 땔나무나 연탄으로 불을 때어 밥도 짓고 화기가 구들을 통과해 방을 덥혀 주었다. 솥과 그릇, 찬장, 화덕 같은 취사도구와 요리도구들은 별도의 부엌에 있을 수밖에 없었고 당연히 상도 그곳에서 차려졌다. 부엌에서 차린 상을 들고 나와 마당과 마루를 지나 방안으로 옮기는 일은 번거롭기 그지없었다. 특히 부엌의 화덕과 부뚜막의 높이는 어른 무릎 정도밖에 되지 않아서 여성들은 구부정한 자세로 일해야 했다.

이미지 확대
1960년대에 현대식 주택과 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주방 문화에도 변화가 생겼다. 방과 거실, 부엌이 같은 공간에 있게 된 것이다. 화장실도 주방 옆에 있는 서양식 주거문화가 서서히 자리 잡게 되었다. 사진은 1960년대 어느 교수의 논문에 게재된 입식 부엌의 모습이다. 자세히 보면 솥단지가 두 개 걸려 있다. 또 솥단지 뒤로 둥근 배관시설이 보인다. 배관은 바로 연기가 빠지는 굴뚝이다. 입식 부엌이지만 연탄을 연료로 쓰고 있음을 보여준다. 당시에는 가스 연료가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양옥이나 아파트를 지어도 연탄 화덕을 집안에 둬야 했다. 그래도 허리춤 높이의 입식 요리대에서 음식을 만들어 바로 옆에 있는 식탁으로 옮겨 상을 차리는 것만으로도 사진 속의 주방은 가히 혁명적인 변화였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2-14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