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미세먼지 특효약/전의찬 세종대 환경에너지융합학과 교수

[기고] 미세먼지 특효약/전의찬 세종대 환경에너지융합학과 교수

입력 2019-07-02 17:28
수정 2019-07-03 00: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전의찬 세종대 환경에너지융합학과 교수
전의찬 세종대 환경에너지융합학과 교수
미세먼지는 백약을 다 쓰고도 고치지 못하니 정말 고질병이고 불치병이라 하겠다. 하지만 불치병이라 해도 앉아서 죽을 순 없는 일 아닌가? 무엇보다 원인을 다시 살펴보자. 한국외대 박일수 박사가 최근 3년간 미세먼지 고농도일(PM10 80㎍/㎥ 이상)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영향과 중국 영향이 비슷한 날이 미세먼지는 약 70%, 초미세먼지는 약 50%다. 또 국내 영향이 더 큰 날도 10%가 넘는다. 즉, 60~80%는 국내 미세먼지를 줄여야 심각한 미세먼지 오염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번에 서울시가 발표한 ‘생활권 미세먼지 그물망 대책’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발생량을 감축하는 대책이라는 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수도권의 가장 큰 배출원은 차량이다.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초미세먼지가 전체의 4분의1이고, 2차 생성까지 고려하면 휘발유차도 면죄부를 받기 어렵다. 이번 대책에서 서울시는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이던 이륜차(오토바이) 1000대를 올해 전기 이륜차로 교체하고, 2025년까지 배달용 오토바이 10만대를 전량 교체키로 했다. 서울시에 남아 있던 경유 마을버스 444대도 2023년까지 모두 전기버스로 바꾸기로 했다. 상대적으로 관리가 약했던 경유 경찰버스 등 특수차량을 우선적으로 친환경차로 교체하고, 시위진압을 위해 대기하는 경찰차량의 공회전도 방지하는 대책을 내놨다.

두 번째 배출원은 약 5분의1을 차지하는 비산먼지다. 서울시 비산먼지 발생사업장 약 2000곳의 거의 대부분이 건설공사장이다. 공사 현장은 밖에서 보이지 않으니 관리가 제대로 될 리 없다. 이번 대책에 포함된 사물인터넷(IoT) 기반 간이측정기를 활용하면 마치 청진기로 몸 상태를 알아보듯 건설공사장의 미세먼지를 제대로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서울시의 이번 대책은 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공간에서 실질적으로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고, 일부는 시민들이 직접 미세먼지 해결에 나선다는 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점점 더 심해지는 미세먼지 오염을 구체적으로 줄일 수 있는 대책이므로 매우 시의적절하다. 서울시가 미세먼지 오염 해결에 앞장서고, 이것이 대한민국 미세먼지 해결 신호탄이 돼 예전의 ‘맑은 공기 푸른 하늘’을 되찾을 날이 하루속히 오길 기대해 본다.

2019-07-03 3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