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해녀 포럼/이동구 논설위원

[씨줄날줄] 해녀 포럼/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3-08-17 00:04
수정 2023-08-17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엇사나, 이어도사나 … 우리 인생은 한번 죽으면/다시 환생하지 못하느니라. 원님의 아들 원 자랑하지 말아라/신의 아들은 신 자랑을 말아라. 같은 베개에서 한숨을 자고 나니/원도 신도 두려울 데 없다. 원수님은 외나무다리에서 만나고/길은 무슨 같은 길인가. 원수님아, 길을 막지 말아라/사랑도 원수도 나는 만들지 않겠노라.”

제주도 해안에서 전승되는 여성노동요 ‘이어도타령’을 현대어로 풀어낸 것이다. “길을 막지 말라”는 대목에서는 직접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해녀들의 생활상과 꿋꿋함이 느껴진다. “사랑도 원수도 나는 만들지 않겠노라”는 가사는 삶의 애환이 얼마나 깊은지를 보여 주는 듯 듣는 사람의 가슴을 찡하게 한다.

요즘의 해녀는 어엿한 직업인이다. 지역·개인별로 천차만별이겠지만 수입도 그리 나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에는 현재 3200여명의 해녀가, 전국적으로는 1만여명의 해녀가 활동 중이다. 대부분 지역 어촌계 소속으로 공동작업을 펼쳐 배분하는 형태로 수입을 거둔다. 소득 수준은 다소 높아졌을지 몰라도 힘든 작업임에는 틀림없다.

현대적 장비 없이 호미와 망태만으로 해산물을 채취하는 ‘해녀의 물질’은 전통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2015년에는 ‘제주해녀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 1호로 지정됐고, 2016년에는 ‘제주해녀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했다.

전국의 해녀들이 ‘한반도해녀포럼’(가칭) 설립에 나섰다. 18일부터 부산을 시작으로 전국 순회 토론회를 개최한다. 해녀들이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해 정부 차원의 해녀 보전 정책 등에 한목소리를 내기 위해서다. 무엇보다 포럼을 통해 환경오염, 연안자원 보존 등 공통 현안들이 심도 있게 논의되길 바란다. 해법을 찾는 데 해녀들의 역할이 기대된다.

해녀들이 해산물을 채취해 잠시 숨을 쉬기 위해 수면 위로 머리를 내미는 순간 내뱉는 숨소리를 ‘숨비소리’라고 한다. 듣기에 따라 한숨 소리 같기도, 휘파람 소리 같기도 하다. 포럼을 통해 해녀의 숨비소리가 한숨이 아니라 경쾌한 휘파람 소리가 되길 빌어 본다.
2023-08-17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