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 시인 “백기(白旗)야말로 우리가 들어야할 깃발”

고은 시인 “백기(白旗)야말로 우리가 들어야할 깃발”

입력 2014-09-15 00:00
수정 2014-09-15 14: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평화친선대사 위촉”

“한 명의 서정 시인으로서만이 아니라 조국 운명의 미래는 물론이고 동아시아의 갈등 구조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실천적으로 고민하고, 아시아 전체와 국제 평화 전반에 시간을 바치겠습니다.”

이미지 확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평화친선대사 위촉된 고은 시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평화친선대사 위촉된 고은 시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평화친선대사로 위촉된 고은 시인이 15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유네스코회관에서 열린 위촉식에서 소감을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평화친선대사로 위촉된 고은 시인은 이날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에서 열린 위촉식에서 이같이 포부를 밝혔다.

고은 시인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평화 친선대사로서 유네스코의 평화 메시지를 전 세계에 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시인은 “적극적인 평화란 충분히 싸울 수 있는 사람이 지킬 수 있다”면서 “전쟁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전쟁을 자기가 중지시킬 수 있는, 전쟁을 극복할 수 있는 의지가 평화의 의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는 경쟁, 투쟁 이런 것에 영 취미가 없는 사람”이라면서 “태생적으로 (내 자신이) 이런 커다란 평화 의지를 실현할 만한 존재일까 생각해볼 때 분에 넘치는 영예로운 위촉을 받았다”고 겸손해했다.

유네스코와의 각별한 인연도 소개했다.

”한국전쟁 직후 산중에 있다가 서울에 와서 여러 매체에 이따금 글을 발표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유네스코 살림을 맡아보던 조동제 선생이 저를 유네스코 사무실로 불러서는 제 글이 참 아깝다며 유네스코 장학금으로 파리에 유학을 가는 게 어떻겠냐고 권하셨습니다. 만약 그때 파리를 갔다면 제가 오늘 여기 서 있지 않고 파리에서 포도주나 마시고 있지 않았을까요.(웃음) 불행인지 다행인지 그때 그 청을 거절했습니다.”

고은 시인은 이날 위촉식에서 자신이 쓴 ‘유네스코에게’라는 제목의 시를 직접 낭송했다.

위촉식 후 기자들과 만난 시인은 과거사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한일 관계와 관련, “악화되는 한일 관계를 풀기 위해 한일 지식인 모임이 내년 초 꾸려질 것”이라면서 “그동안 한일 지식인 대회가 몇번 열려 공동 선언문을 채택하기도 했는데 이번에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최근 중국 인민일보에 한반도 통일을 위해 중국이 적극적으로 앞장설 것을 촉구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세상에서는 백기(白旗)를 불명예스럽게 생각하는데 백기야말로 우리가 들어야 할 깃발”이라면서 세상에서 모두 백기를 들지 않으려 하니 싸움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세월호 정국과 관련해서는 “세월호 문제 자체가 침몰해서 건져내지 못하고 있다”면서 “가능한 빠른 시일 안에 이 문제가 해결돼 이 깊은 상처에서 헤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꾸준히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되어온 고은 시인은 노벨문학상과 관련된 질문에는 “내가 아는 것이 없어서…”라고 말을 아꼈다.

고은 시인은 앞서 지난달 24일 마케도니아 남부도시 스트루가에서 열린 제53회 스트루가 시 축제에서 대상인 ‘황금화관상’(Golden Wreath)을 받았다.

민동석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은 “이 상을 받은 시인 중 네 명이 노벨문학상을 받았는데 이 상을 먼저 받고 노벨문학상을 받은 시인도 있고 노벨문학상을 먼저 받고 이 상을 받은 시인도 있다”면서 “고은 시인이 노벨문학상 수상에 성큼 다가서지 않았나 기대해본다”고 말했다.

민 총장은 또 “고은 시인은 평화의 시인”이라면서 “세계 평화와 국제 협력을 추구하는 유네스코의 이념과 가치를 대한민국 국민과 전 세계에 널리 전파하는 데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