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디자인 교수, 옻칠과 소통하다

시각디자인 교수, 옻칠과 소통하다

입력 2013-10-10 00:00
수정 2013-10-1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나성숙, 24일부터 인사동서 전시회

“자개 위에 옻칠을 해 다시 칠이 속까지 들어가야 해요. 칠이 굳으면 칼로 깎아 광을 냅니다. 안 그러면 뿌옇습니다. 이리도 복잡하니 인내심이 필요합디다. 그런데 내겐 인내심이 아니라 호기심이 컸어요. 이리하면 다음에는 어찌되는지….”

이미지 확대
옻칠 작가 나성숙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옻칠 작가 나성숙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옻칠 작품 ‘북촌 하늘’.
옻칠 작품 ‘북촌 하늘’.
평생을 시각디자인과 교수로 살아온 나성숙(61)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9년 전 불현듯 ‘전통’에 관심이 쏠렸다. 신문기자인 남편이 급작스럽에 생을 마감한 뒤 물밀듯 밀려온 허탈감에 인생의 목적이 무엇인지 반문하던 시절이었다.

학부시절 은사가 “전통(공예)을 하고 싶었는데 못했다”며 탄식하는 소리를 엿듣고, 전통으로 작품을 풀어내리라 다짐했다. 그리고 전통공예건축학교 소목 과정에 등록해 무작정 옻칠에 빠져들었다. 50대에 입문한 옻칠은 옻칠화의 영역으로 넓어졌다.

“난생처음 옻을 따러 갔는데 국내에 채취하는 사람이 10명도 안 된다고 합디다. 옻 따는 날은 시연을 할 정도랍니다.”

그는 작품을 표현하는 마지막 방법으로 전통 옻칠을 택했다고 말했다. 작업 과정은 칠 작업을 하며 전승과 현재, 그리고 이해라는 정반합의 이론을 확인하는 구도의 과정이라고 했다. 하지만 반발도 만만찮았다. “저거 가짜야”, “남의 일거리 빼앗지 말라” 등의 비난이 곳곳에서 빗발쳤다. 순수작가인지 공예가인지 구분할 수 없다는 비아냥도 들었다.

그런 우여곡절 끝에 작가는 한옥 지붕의 선과 창호, 모란꽃 등을 나전과 금박으로 풀어냈다. 나전을 손으로 뚝뚝 끊어 붙이거나, 제작 과정의 중간 단계인 골회 바르기를 따로 떼어내 작품화했다. 원목 목판에 제작된 작품을 옻칠판에 그대로 붙이기도 했다. 물론 옻칠이 바탕이 된 작업이다.

“옻칠 작품은 숙련된 노동으로만 얻을 수 있다”고 말하는 나 교수는 오는 24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서울 인사동 선화랑에서 35점의 작품들로 전시회를 연다. 이순을 갓 넘긴 작가가 인생의 한가운데서 되새긴 예술의 의미를 되짚어볼 수 있는 자리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10-10 2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