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곡된 오리엔탈리즘을 능지처참하라

왜곡된 오리엔탈리즘을 능지처참하라

입력 2010-04-17 00:00
수정 2010-04-17 0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美·加 교수가 함께 쓴 中 처형제… 서구 해석 해부 ‘능지처참’

#1. 그날 그 사진 프랑스 사진사가 찍은 사진이 있다. 1904년 가을 베이징의 채소시장 앞. 많은 사람들에 둘러싸인 채 한 사내가 기둥에 묶여 있다. 회자수(?子手·사형집행인)가 가슴 부위를 도려내고 있다. 이웃과 재산 문제로 다툼하다 12명 일가족의 목숨을 빼앗은 왕웨이친(王維勤)에 대한 능지형 장면이다. 청나라의 대법전인 ‘대청율례(大淸律例)’가 정한 가장 가혹한 형벌로, 중국 대륙에서 집행된 마지막 능지형이었다.

이미지 확대
서구 열강들에 의해 분할되는 중국 대륙을 풍자한 그림. 능지처참을 빗댄 상징이기도 하다.
서구 열강들에 의해 분할되는 중국 대륙을 풍자한 그림. 능지처참을 빗댄 상징이기도 하다.


#2. 그의 그 기억 미셸 푸코의 저서 ‘감시와 처벌’ 첫 대목이다. ‘사형집행인 상송은 칼을 꺼내 넓적다리의 윗부분을 도려냈다. 그리고 네 마리 말이 끌어당기자 처음에는 오른쪽 다리, 다음에는 왼쪽 다리가 떨어져 나갔다.(…)’ 1757년 프랑스 국왕 루이 15세 시역죄로 붙잡힌 로베르 프랑수아 다미앵에게 가해진, 필설로 다 옮기기 힘든 끔찍한 처형에 대한 묘사다.

동·서양에서 각각 벌어진 참혹한 사형 방식이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국 등 동양권에서는 능지처참(遲處斬)이라고 했고, 서구에서는 이를 약간은 과장되게 ‘천 번 잘라 죽이는 형벌(Death by a thousand cut)’이라고 불렀다. 푸코가 언급했듯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랜 시간 존치됐던 처형 제도였다.

그러나 서구에서는 한 장의 사진이 주는 선정적 이미지를 갖고 ‘동양의 야만성’과 함께, 서구의 문화적 우월주의의 근거로 삼고 있다.

티모시 브룩 영국 옥스퍼드대 중국학 교수와 제롬 부르곤 프랑스 리옹대 아시아오리엔트연구소 연구원, 그레고리 블루 캐나다 빅토리아대 역사학 교수가 함께 쓴 ‘능지처참’(박소현 옮김, 너머북스 펴냄)은 왕웨이친 처형 사진(신문에 싣기에는 너무 잔혹하다)과 그 사건으로 유장한 얘기를 풀어낸다. 그리고 서구의 시선에 가로놓여진 편견을 에드워드 사이드가 얘기한 ‘오리엔탈리즘’이라고 비판하며 지성적으로 해소하는 한편, 단선적 역사 읽기의 환상을 해체하고자 했다.

책은 중국 형벌의 역사와 함께 중국 처형제에 대한 서구적 해석의 역사를 다룬다. 나아가 중국뿐 아니라 중국 이외의 다른 지역 형벌의 역사를 포괄하는 형벌의 세계사라는 더 큰 맥락으로 다루고 있다.

서구에서, 자신의 과거에 대한 기억과는 별개로, 중국의 능지형 등 처벌을 야만적이라고 규정지은 것은 아시아에 대한 침략을 본격화한 19∼20세기부터였다. 도덕적 우위를 앞세워 자신들의 제국주의적 침략과 지배를 정당화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21세기에도 ‘서구적 인권’의 개념으로 중동, 북한, 아시아 등 다른 국가들에 서구 문화의 이입을 강요하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한다.

19세기 말 개화파 김옥균을 육시(戮屍·시체를 도륙하는 형벌)했던 우리 사회는 21세기인 지금은 사형제 폐지를 둘러싸고 여전한 찬반 논란을 겪고 있다.

인간이 법의 이름으로 가할 수 있는 형벌의 범위에 대한 논의에 참고가 될 만하다. 2만 3000원.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4-17 1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