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고분벽화 안내서 출간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고분벽화 안내서 출간

입력 2013-06-28 00:00
수정 2013-06-28 13: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안휘준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 ‘한국 고분벽화 연구’ 펴내

고분벽화는 동아시아 미술사에서 우리 미술의 독자성을 가장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는 분야다.

운반과 이동이 비교적 자유로운 서화, 공예, 조각 같은 일반적인 미술 장르와 비교해보면 이 점을 잘 알 수 있다.

고분벽화는 고분건축 안에 있는 붙박이 장식이므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외래성보다는 지역적 특수성이 좀 더 강하게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에서는 좀처럼 보기 어려운 사신도(四神圖)가 고구려 고분에서 벽면 전체를 뒤덮을 정도로 발달한 것은 그 때문이다. 아울러 고분벽화는 고분건축과 장례문화의 한 산물이기 때문에 그 시대 사람들의 일상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고구려 고군 벽화만의 특징을 잡아낸다면 고구려사를 자국사에 포함하려는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에 근본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이렇듯 기록성과 사료성 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 한국 고분벽화의 전체 흐름을 한 권으로 정리한 종합적인 안내서가 나왔다. 안휘준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초대 이사장(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가 쓴 ‘한국 고분벽화 연구’다.

안 이사장은 전작인 ‘한국 회화사 연구’, ‘한국 미술사 연구’ 두 책에서 고분벽화에 관해 쓴 글들을 한 권으로 묶었다. 현재 시점에 맞춰 사실 관계가 달라진 부분은 수정하고 그 사이 연구 성과를 반영했다.

이 책은 고분의 구조나 출토품 등 고고학적 측면과 자료에 관해서는 되도록 언급을 피하고 벽화의 주제와 화풍, 표현방법 등 미술사적인 양상을 밝히는데 주로 치중했다.

즉 벽화가 그려져 있는 고분인 벽화고분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고분 내에 그려진 벽화인 고분벽화에 관한 고찰이다.

고구려의 고분벽화를 제외하고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모든 시대의 고분벽화를 꿰는 학술적 연구서가 없는 상황에서 이 책은 한국 고분벽화를 연구하려는 사람들이나 문화재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들에게 유용한 안내서다.

안 이사장은 “고분벽화는 고구려에 한정되지 않고 백제와 신라, 고려, 조선시대까지 역사를 이어갔다고 하니 우리 역사를 꿰뚫을 수 있는 귀한 열쇠 하나를 손에 쥔 것과 다름없는 일”이라며 “서화는 남아 있는 것이 시기상으로 고려 이후, 대부분 조선시대까지 내려가야 하고 불교조각이나 공예는 직접적인 기록의 성격이 약하기 때문에 고분벽화만큼 많은 정보를 주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