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마을입구 600살 은행나무 최근 6년새 아들·손자목 얻어

마을입구 600살 은행나무 최근 6년새 아들·손자목 얻어

입력 2010-06-07 00:00
업데이트 2010-06-07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주 한옥마을 입구에 들어서면 만고풍상을 온몸으로 버텨온 거대한 은행나무(위)가 눈에 들어온다. 높이가 16m에 이르고 몸통은 어른 팔로 두 아름에 이른다. 이 나무가 ‘천년 고도’ 전주시를 상징하는 은행나무의 조상이다.

이미지 확대
수령이 600년을 넘는 이 거목은 아직도 푸름을 잃지 않고 있다. 오랜 세월을 살아오는 동안 몸통이 훼손돼 대수술을 받았지만 여름이면 커다란 그늘을 만들고 가을이면 열매가 주렁주렁 열려 자손을 퍼뜨린다.

풍남동 은행나무는 고려 우왕 9년(1383년) 조선의 개국공신 월당 최담 선생이 귀향, 후진양성을 위해 학당을 세우면서 전주 최씨 종대 뜰안에 심은 것이 오늘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진다. 은행나무는 벌레가 슬지 않아 관직에 진출할 유생들이 부정에 물들지 말라는 뜻에서 심었다.

은행나무 밑에서 심호흡을 다섯번 하면 정기를 받게 된다 하여 많은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명소가 됐다.

이 은행나무와 관련된 또 다른 설화도 전해 내려온다.

최담 선생의 넷째 아들 최덕지(崔德之)가 조선 태종 2년에 이 나무를 심었다는 설이다.

최덕지는 인품이 특출난 데다 오복을 다 갖춰 흠모하는 후학들이 많았다. 또 여인네들이 상사병을 앓을 만큼 남자다운 기상이 넘쳐 흐르는 인물로 알려졌다.

선생이 세상을 떠나자 과거를 보러 가는 과객들이 급제를 위해 이 은행나무 앞에서 그의 학문을 숭상하는 묵념을 올리는 관습이 생겼다. 후학들은 매년 정월 초하루가 되면 제사를 지냈다.

또 이 은행나무에 제사를 지내면 떡두꺼비 같은 사내 아이를 낳을 수 있다는 전설도 있다. 매년 정월 초하루 아들 하나만 점지해 달라고 기도를 올리는 여인들이 줄을 이었던 것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같은 연유로 완산부성(현 전주시) 내에는 은행나무가 많고 은행나무 길이 명성을 떨쳤다. 오늘날에도 은행나무 앞에서 묵념을 올리는 여인네들이 간혹 눈에 띈다.

이 은행나무는 최근 ‘자식과 손자’(아래)를 얻은 것으로 확인돼 화제가 되고 있다.

몸통이 훼손돼 수세가 약해지던 이 나무 뿌리에서는 6년 전부터 새로운 줄기가 뻗어 의젓하게 자라고 있다. 엄마 품에 안긴 아이처럼 본체와 거의 한 몸처럼 자라는 이 새 줄기는 국립산림과학원이 유전자 검사를 실시한 결과 씨앗이 떨어져 발아한 것이 아니라 뿌리에서 직접 돋아난 맹아묘로 확인됐다. 올해는 다시 자식 나무 뿌리에서 두 줄기 새순이 나와 손자를 얻은 은행나무를 보려는 관광객들이 몰리고 있다. 시민들은 풍남동 은행나무가 아들과 손자까지 얻은 것은 분명 좋은 일이 생길 길조라며 반기고 있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0-06-07 2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