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포토 다큐 줌인] 다문화 가정의 취학준비

[포토 다큐 줌인] 다문화 가정의 취학준비

입력 2012-02-18 00:00
업데이트 2012-02-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씨 비뚤배뚤해도, 발음 어색해도… 나는 대한민국 초등생

“비뚤어지지 않게 색연필에 조심해서 붙여야지.” 12년 전 태국에서 한국으로 시집 온 권낫다몬(44)씨가 올해 취학을 앞둔 둘째 아들 태찬(8)이를 데리고 학용품에 이름표를 달고 있었다. 그녀는 지금 이렇게 손수 아들의 준비물을 챙겨 주는 것이 꿈만 같다. 5년 전 첫아이 태호가 학교에 들어갈 때만 해도 한국말과 글이 서툴러 입학 준비는 전적으로 남편 몫이었다. 학교에서 보내오는 알림장은 내용을 몰라 큰 고민거리였다. “처음 한국에 왔을 당시만 해도 아는 단어라고는 ‘안녕하세요’가 전부였어요.” 그러던 중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글 공부를 시작했다. “남편은 한국어를 못하는 저를 위해 매일 두 시간씩 복습과 예습을 도와줬어요.”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은 덕분에 그녀는 현재 한국어 능력 3급 자격시험을 본 뒤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권낫다몬씨와 둘째 아들 권태찬군이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 집에서 아현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학용품에 이름 붙이는 작업을 하고 있다
권낫다몬씨와 둘째 아들 권태찬군이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 집에서 아현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학용품에 이름 붙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권낫다몬씨와 둘째 아들 권태찬군이 서울 아현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대형 마트에서 책가방과 노트를 구입하기 위해 집을 나서고 있다.
권낫다몬씨와 둘째 아들 권태찬군이 서울 아현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대형 마트에서 책가방과 노트를 구입하기 위해 집을 나서고 있다.


이미지 확대
한국건강가정진흥원과 외환은행 나눔재단이 주최한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예비학부모교실에 참석한 다문화가족 엄마와 어린이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한국건강가정진흥원과 외환은행 나눔재단이 주최한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예비학부모교실에 참석한 다문화가족 엄마와 어린이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이미지 확대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다문화가정 아이와 엄마들이 마포다문화 지원센터에서 알림장 작성법을 교육받고 있다.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다문화가정 아이와 엄마들이 마포다문화 지원센터에서 알림장 작성법을 교육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엄마들이 마포다문화 지원센터에서 언어 발달 치료사 한지은씨로부터 낱말 카드를 이용한 한글 교육을 받고 있다.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엄마들이 마포다문화 지원센터에서 언어 발달 치료사 한지은씨로부터 낱말 카드를 이용한 한글 교육을 받고 있다.


입학과 졸업 시즌이다. 국제결혼이 본격화되면서 그들의 자녀들이 입학해 어느 덧 초, 중, 고교에 다니고 있다. 이를 반영한 듯 다문화 정책의 초점도 이주 여성에서 점차 다문화 자녀로 옮겨 가고 있다. 지원 기관들은 다문화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하고 있다.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전국다문화가족지원단 고선주 원장은“언어발달 지원 및 이중 언어 교육 등 다문화 가정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며 “다문화가족 예비 학부모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는 게 목적”이라고 말했다. 서울 마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지은 언어발달 지도사는 “엄마와 있는 시간이 많은 취학 전 다문화 자녀들의 경우 발음이 또래 내국인 아이들과 미세한 차이가 있다.”며 “엄마와 아이에게 같이 동화책을 읽혀 발음 연습을 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누구나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설렘과 두려움이 교차한다. 특히 다문화 자녀 학부모들은 걱정스러운 마음이 더 크다. 학교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면 어쩌나, 외모가 한국 학생과 달라 놀림을 당하지는 않을까 등 걱정이 적지 않다. 고선주 원장은 “다른 것에 대해 굳이 우리와 같은 모습으로 맞추려 하지 말고 ‘다름’ 그 자체를 존중하려는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다문화는 낯선 용어였다. 그러나 현재 전체 결혼의 10%, 농촌 지역의 경우 30%가 국제결혼이다. 이들 사이에 태어난 초, 중, 고교 다문화 자녀 수가 2011년 교육부 집계로 2만여명에 이른다. 그들에게 관심과 사랑이 필요할 때다. 특별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그 아이들을 우리 아이들처럼 대하면 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한글도 익혔으니 좋은 엄마가 꼭 될래요.”라며 밝게 웃는 권낫다몬씨는 “태찬이가 이 다음에 커서 남을 도울 수 있는 사람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녀의 바람처럼 다문화 자녀들을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이끄는 것이 우리 모두의 역할이자 책임이다.

글 사진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2012-02-18 2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