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종원 선임기자 카메라 산책]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훈련장 가다

[이종원 선임기자 카메라 산책]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훈련장 가다

입력 2014-10-06 00:00
업데이트 2014-10-06 02: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꿈인 듯 꿈이 아닌 꿈만 같은, 나도 국가대표다

‘45억 아시아인의 축제’로 불리는 인천아시안게임이 막을 내린 지금, 또 다른 아시아경기대회를 위해 더 큰 열정으로 긴장 속에 훈련하는 선수들이 있다. 오는 18일부터 열릴 ‘2014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에 출전하는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들이다.

이미지 확대
보조기구와 운동화.
보조기구와 운동화.
지난달 29일 경기 이천시 대한장애인체육회 이천훈련원. 새벽을 가르는 힘찬 기합 소리와 함께 시작된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들의 막바지 훈련이 한창이었다. 땀이 비 오듯 흐르고 숨이 턱까지 차오르지만 고요한 침묵 속에서 매 순간 찾아오는 한계에 도전하는 이들의 목표는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금메달이다.

장애인 경기 종목에는 ‘낯선’ 스포츠가 많다. 그중 하나가 시각장애인 전용 종목인 골볼이다. 핸드볼과 비슷한 경기로, 소리가 나는 공을 사용해 3대3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선수들은 꿈의 무대를 밟기 위해 값진 고통을 이겨내고 있었다. 여자골볼팀 김은지 선수는 “남은 기간 컨디션 조절을 잘해 금메달을 딸 수 있게끔 하겠다”며 남다른 각오를 다졌다.

바퀴가 셋 달린 휠체어로 트랙을 질주하는 육상, 휠체어를 타고 검술을 겨루는 휠체어펜싱 등도 익숙하면서도 비장애인 경기와는 차이가 있는 종목들이다. 보치아는 뇌성마비 장애인만을 위한 종목이다. 양 팀으로 나뉘어 표적구(잭볼)에 공을 가깝게 던지는 팀이 이기는 경기다. 동작이 뜻대로 통제되지 않는 뇌성마비 장애인들에게는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한 운동이다.

이미지 확대
바퀴가 셋 달린 휠체어로 트랙을 질주하는 육상은 장애인경기대회의 인기 종목이다.
바퀴가 셋 달린 휠체어로 트랙을 질주하는 육상은 장애인경기대회의 인기 종목이다.
이미지 확대
한쪽 팔이 절단된 선수가 원반던지기 훈련을 하고 있다.
한쪽 팔이 절단된 선수가 원반던지기 훈련을 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장애인 양궁은 휠체어 규정을 제외한 모든 규칙이 일반 양궁과 동일하다.
장애인 양궁은 휠체어 규정을 제외한 모든 규칙이 일반 양궁과 동일하다.
이미지 확대
보치아는 동작이 뜻대로 통제되지 않는 뇌성마비 장애인들에게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한 운동이다.
보치아는 동작이 뜻대로 통제되지 않는 뇌성마비 장애인들에게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한 운동이다.
이미지 확대
휠체어펜싱 참가 선수는 척수 장애, 절단 및 기타 장애로 2등급에서 4등급 선수로 구분돼 경기를 치른다.
휠체어펜싱 참가 선수는 척수 장애, 절단 및 기타 장애로 2등급에서 4등급 선수로 구분돼 경기를 치른다.
수영의 김세진 선수가 물속을 향해 힘찬 스타트를 하고 있다. 김세진은 지체장애를 극복하고 한국 장애인 수영의 간판으로 성장한 금메달 유망주다.
수영의 김세진 선수가 물속을 향해 힘찬 스타트를 하고 있다. 김세진은 지체장애를 극복하고 한국 장애인 수영의 간판으로 성장한 금메달 유망주다.
세계 랭킹 1~3위의 선수들이 포진하고 있는 우리 대표팀은 금메달을 기대하고 있다. 핸드사이클은 다리가 불편한 장애인들이 팔을 사용해서 하는 경기다. 여자핸드사이클 이도연 선수는 늦은 나이에 운동에 입문했지만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열린 세계선수권대회에서 3연패를 달성한 실력파다. “운동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아직까지도 비장애인에 비해 장애인체육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것 같다”며 “국민들이 조금 더 관심을 갖고 스포츠로 지켜봐 주시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들에게 이번 대회는 잃어버린 꿈을 찾는 도전의 장이다. 연습 중 상대 선수의 손에 눈을 찔려 시력을 잃은 시각유도의 최광근 선수는 장애를 인생의 전환점으로 삼았다. 그를 어둠 속에서 꺼내준 것은 운동이었다. 덕분에 자신감도 생겼고 다시 꿈을 꿀 수 있게 됐다. 그는 2012년 런던패럴림픽 시각유도 금메달리스트다. “장애가 없었다면 국가대표는 저에게 한낱 ‘꿈’에 불과했을 겁니다. 그러나 이제 현실이 됐고, 패럴림픽 메달리스트도 됐습니다.”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는 아시안게임이 열린 후에 열리는 일종의 패럴림픽이다. 2006년까지 아시아태평양지역 장애인경기대회로 열리다가 2010년 광저우대회부터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로 열렸다.

아시아 40개국이 참가하는 이번 대회에서 개최국인 우리나라는 23개 종목에 335명의 선수가 출전한다. 지난 광저우대회에서 3위에 만족했던 우리 팀은 기술력 강화에 전념하며 2위를 목표로 하고 있다.

각자의 목표는 다르지만 열정만큼은 누구보다 뜨거운 장애인대표 선수들. 메달을 따는 것 못지않게 당당히 겨루는 일 자체가 아름다운 도전이다. 선수들에게 장애는 걸림돌이 아니라 새 삶을 시작하게 한 출발점이다. 더 치열하게, 더 간절하게 삶의 꿈을 채우는 그들에게 어쩌면 메달보다 국민들의 성원이 더 큰 소망일지 모른다. 아시안게임의 반의반만이라도 관심을 갖고 지원해 준다면 목표 달성은 무난할 것이다.

글 사진 jongwon@seoul.co.kr
2014-10-06 2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