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칼럼] 통일신라 정병과 도계탄광

[서동철 칼럼] 통일신라 정병과 도계탄광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6-08 23:12
업데이트 2016-06-09 0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논설위원
지난주 강원 삼척시 도계읍에서 국보급 통일신라시대 정병이, 그것도 두 점이나 동시에 출토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정병(淨甁)은 우주의 기운이 응축된 정수(淨水)가 담겨 있는 것을 상징하는 불교 의례 용구이다. 정병이 발견된 곳을 그저 흥전리 절터로 부를 수밖에 없는 것은 절 이름이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역사책에도 등장하지 않고, 절 이름을 알려 주는 유물도 아직 나오지 않았다.

흥전(興田)이라는 땅이름을 기억하는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영동선의 나한정역과 흥전역 사이 철도를 ‘스위치백’으로 개설한 것이 1962년이다. 앞서 일제가 1940년 태백시 철암과 지금의 동해시 묵호 사이 산업철도를 부설했을 때에도 이 구간은 ‘인클라인’이었다. 모두 고저 차이가 심한 지형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선로 부설 방식이다. 선로를 지그재그로 잇는 방식이 ‘스위치 백’, 윈치로 열차를 끌어올리는 방식이 ‘인클라인’이다.

2012년 ‘스위치 백’ 폐선으로 흥전역도 폐지됐다. 대신 전장 16.24㎞의 솔안터널이 뚫렸다. 국내 최초의 ‘루프’형 터널이다. 무려 387m의 표고 차를 극복하고자 연화산 속을 나선형으로 한 바퀴 휘감아 오르내리는 방식이다. 난공사 중의 난공사로 터널 굴착에만 13년이 걸렸다. 일찍부터 이 지역에 철도를 건설한 것은 석탄을 비롯한 지하자원 때문이었다.

흥전리 절터로 가는 길도 당연히 험했다. 717m 봉우리의 정상이 지척이다. 태백과 삼척을 잇는 국도에서 절터로 올라가는 중간에는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가 있었다. 광차(鑛車)가 갱구로 연신 드나들었지만 왠지 활기가 느껴지지 않았다. 이곳에서 4륜 구동차로 갈아탔다. 해발 680m의 발굴현장으로 ‘등반’하는 내내 엔진과 타이어는 비명을 질러댔다.

흥전리 절터 3차 시굴 및 발굴 조사의 현장설명회 자리에는 발굴 유구와 출토 유물의 중요성을 상징하듯 많은 보도진과 관계전문가가 자리잡고 있었다. 그런데 더욱 눈길을 잡아끈 것은 도계읍 적십자봉사단원들이 음료수며 과일을 대접하는 모습이었다. 차에서 내려 다시 짧지 않은 산길을 걸어 올라아 하는 발굴현장이다. 중년 여성들이 상당한 무게의 짐을 이고 지고 찾기란 쉽지 않았을 것이다.

내 고장에서 의미 있는 문화유산이 발굴되고, 온 나라가 떠들썩할 만한 유물이 출토되는 것은 축복이다. 관념적으로는 그렇지만 현실은 딴판이어서 뛰어난 문화유산이 모습을 드러내면 주변은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묶이고 지역 주민은 오히려 피해를 본다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도계읍 주민들처럼 진정으로 정병 출토를 기뻐하는 모습을 보기란 쉽지 않다.

그러지 않아도 불교문화재연구원 조사단은 2014년 1차 시굴조사 때부터 현지 주민들의 전폭적인 지지와 성원을 받았다고 한다. 그 이유는 내려오는 길에 잠시 들른 도계광업소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날 도계광업소에서는 정부의 대한석탄공사 폐지 및 도계광업소 폐광 방침에 따른 근로자들의 투표가 벌어지고 있었다. 정부의 폐광 방침에 조기 폐광으로 대응하겠다는 안건이었으니 목숨을 건 배수진이나 다름없다. 산 아래 도계읍의 분위기는 더욱 절박해 폐광을 반대하는 플래카드가 온 읍내에 나부꼈고 도계역전에서는 서명운동도 벌어지고 있었다.

폐광이 되면 도계읍 경제도 무너질 것으로 주민들은 우려한다. 물론 폐광을 반대하면서도 석탄산업이 언젠가는 사라질 운명의 사양산업이라는 것도 잘 알고 있었다. 주민들은 흥전리 절터가 크든 작든 대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를 걸고 있는 듯했다. 양양 낙산사만큼이나 중요한 문화 및 종교 유산으로 떠올랐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숨기지 않았다.

주민들의 기대가 다르듯 학계의 자세 역시 다른 발굴현장과는 달라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정병도 정병이지만 석물(石物)을 다룬 솜씨를 보면 신라의 수도 경주의 그것이 연상될 정도라는 감탄이 잇따랐다. 이 까마득한 오지에 왜 이토록 수준 높은 절이 들어서야 했는지를 밝히는 것이 과제다. 의미 있는 절의 역사를 제대로 복원해 주민들에게 작은 웃음이나마 돌려주면 좋겠다.

논설위원
2016-06-09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