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땡삐, 독하다 강하다 질기다

[말빛 발견] 땡삐, 독하다 강하다 질기다

이경우 기자
입력 2016-09-07 22:28
업데이트 2016-09-07 2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말벌’의 ‘말’에는 ‘큰’이라는 의미가 있다. ‘말벌’은 이름으로도 크기가 크다는 것을 알려 준다. 우리나라 매미 중에서도 가장 큰 매미에는 ‘말매미’라는 이름이 붙었다. 살갗에 흰 점이 둥글게 생기는 ‘말버짐’의 ‘말’도 같은 뜻으로 덧붙여졌다. ‘말개미’도 덩치가 큰 ‘왕개미’를 일상적으로 부르는 말이다.

말벌은 독성도 강해 이름을 크게 날리고 있다. 잘못 쏘이면 목숨까지 위태로워진다. 가을로 접어들기 전 말벌은 더욱 위협적이어서 ‘말벌 주의보’까지 발령될 지경이다. 숲속 등 야외에서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데 요즘은 도심으로까지 진출해 왕성한 활동량과 공격성을 자랑한다. 그렇다고 피해만 주는 곤충은 아니다.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벌레를 잡아먹어 이로움을 주기도 한다.

말벌 못지않은 주의가 필요한 게 ‘땅벌’이다. 땅벌은 땅속에 집을 짓고 산다. 그렇다 보니 이런 이름으로 불린다. 검은색 몸에 노란색 선이 있다. 말벌보다 작지만 한꺼번에 몇십 마리씩 달려드는 특성이 있다. 그것도 끈질기게 달라붙어 벌침을 쏴 댄다. ‘땅벌’은 무조건 피하고 봐야 하는 벌이 됐다. 독한 벌의 대명사처럼 여겨진다.

이 때문인지 땅벌은 강원, 경상, 충북 등에서는 ‘땡삐’라는 이름을 얻었다. 강원 지역에서는 또 ‘땡벌’로도 불린다. 모두 ‘땅벌’보다 더 독하고 강하다는 느낌을 전한다. ‘땡’이 그런 구실을 한다. ‘땡감’은 덜 익어서 맛이 아주 떫은 감이고, ‘땡고추’는 아주 매운 고추, ‘땡볕’은 아플 정도로 따갑게 내리쬐는 볕이다.

이경우 어문팀장 wlee@seoul.co.kr
2016-09-08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