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수요 에세이] 고전으로부터의 인성교육/전호환 부산대 총장

[수요 에세이] 고전으로부터의 인성교육/전호환 부산대 총장

입력 2016-09-27 22:54
업데이트 2016-09-28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전호환 부산대 총장
전호환 부산대 총장
2014년 책임과 인간성을 저버린 세월호 선장에 대한 여론의 질타가 빗발쳤고, 이로 인해 우리나라에는 세계 최초로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됐다. 이 법안에 따라 학교에는 인성교육의 의무가 부여됐고, 인성에 바탕을 둔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인성(人性)은 인간성이고 품성이다. 이를 아우르는 말이 바로 인문(人文)이다. 인성의 의미가 이러하다면 특정 교과목을 배우듯 교실에서 이뤄지는 주입식 교육만으로 그 목적을 이룰 수 있을까.

20세기 초반, 미국의 대학교육에서도 인성이 화두가 되었다. 1929년 당시만 해도 평범한 대학이었던 시카고대학에 불과 29세의 젊은 로버트 허친스가 총장으로 부임했다. 그는 학생이 졸업 때까지 위대한 고전(古典) 100권을 읽도록 의무화하는 교육혁신을 단행했다. ‘희망의 인문학’의 저자 얼 쇼리스는 이를 미국 최고의 교육이라 극찬했다. 우리는 허친스 총장이 학생들에게 고전을 읽게 한 근본적인 이유를 질문해 볼 필요가 있다. 그는 1953년 출판한 저서 ‘이상적 대학’(The University of Utopia)을 통해 당시 미국 대학이 직면한 교육 위기의 주요 원인을 산업화, 전문화, 철학의 다양성에 따른 소통의 부재, 그리고 사회적·정치적 순응주의 등 4가지로 진단했다. 또한 그는 대학교육의 진정한 목표와 대학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서 성찰했다.

그가 진단한 당시 미국 대학의 위기가 오늘날 우리 한국 대학이 직면한 위기와 고스란히 닮아 있다는 데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과학과 기술의 발달을 통해 산업화를 이룩한 나라의 경제적 국력이 아무리 막강해도, 그 자체가 삶의 목적이나 사회의 목적이 될 수는 없다. 그는 예술과 사상이 없는 문명, 혹은 예술과 사상을 가치 있게 여기지 않는 문명은 잡동사니 꾸러미에 불과하다고 했다. 오직 교육을 통한 도덕적·지적·심미적·정신적 성장이 민주주의 사회의 진정한 힘을 길러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허친스 총장은 당시 미국 대학들이 사회적 수요에 맞춰 설립한 운전학과, 미용학과 같은 지나친 전문화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짚어냈다. 또한 교수들의 지적 영역의 전문화에 대해서도 일갈한다. 예를 들어 1860~1864년 미국사 전공교수는 1865~1870년의 미국사 강의를 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런 문제의 대안으로 그는 자유교양교육을 주장했다. 교육의 지나친 전문화는 건강한 사회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 수 있는 방법이나 의무를 이해할 수 있는 인격체를 기를 수 없다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나라 교육의 한계로 지적되는 통섭적 관점의 결여도 허친스 총장은 이미 지적하고 있다. 다양한 전문화 영역들이 그 본연의 지식과 철학적 관점을 가져야 하는 것은 마땅한 일이다. 그러나 각 영역들 사이의 소통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가 제안한 것은 토론을 통한 교육이다. 그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문명은, ‘토론이 폭력을 대신하는 문명이며, 합의가 행동에 기초가 되는 문명’이기 때문이다.

허친스 총장이 지적한 대학교육 위기의 마지막 요소인 사회적·정치적 순응주의는 재정 때문이라고 했다. 재정을 좇아가는 대학 교육은 독립된 사고와 비판을 할 수 있는 인재들을 배출할 수 없다는 말이다. 오늘날의 우리 현실에서 너무도 공감되는 부분이다.

허친스 총장은 당시 미국 대학의 위기를 인성교육의 부재라고 진단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시카코 플랜’을 통한 고전 교육 강화를 제시했다. 그 결과 시카고대학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노벨상을 배출한 명문 대학이 되었다. 그는 졸업생들이 노벨상을 받게 하고자 고전을 읽힌 게 아니었다. 미국의 160여개 대학으로 확대되어 시행하고 있는 이러한 인성교육이 우리나라에 필요하지 않은가.

대학의 존재 이유는 지식의 축적과 전수이고, 대학을 지탱하는 핵심 원리는 공익이다. 인공지능 기술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지속성장을 위한 기반은 대학 교육이 담당할 수밖에 없다. 지금 당장 필요한 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먼 미래를 보고 투자하는 국가 정책도 필요하다. 위기의 대학에 인문학 교육 강화가 필요하고 국가 재정을 더 많이 투입해야 하는 이유다.
2016-09-28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