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한글, 기쁨이지만 아픔도 있는 이름/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한글, 기쁨이지만 아픔도 있는 이름/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6-10-05 21:28
업데이트 2016-10-05 22: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글’은 문자를 가리킨다. 그럼에도 ‘한글’과 ‘한국어’는 곳곳에서 섞여 쓰인다. ‘한국어’라는 단어가 잘못 쓰이는 예는 찾기 어렵지만, ‘한글’이 오용되는 예는 수없이 많다. ‘한글 이름’이라든가, ‘한글로 번역한다’ 같은 표현이 그러하다. ‘우리말 이름’이거나, ‘한국어로 번역한다’라고 해야 말이 된다. 이렇게 ‘한글’과 ‘한국어’가 구별되지 않고 쓰이는 데는 역사적 이유가 있기도 하다.

세종대왕이 붙인 ‘훈민정음’에서 시작해 ‘한글’은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었다. 대표적인 게 ‘언문’이다. 일찍부터 ‘한자’에 대응해 붙여진 이름이다. 애초 낮추려는 의도는 없었겠지만, 속되다는 의미가 스며들었고 그렇게 쓰였다. 이 외 ‘암글’이나 ‘반절’이라고도 했다.

그러다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 국가와 민족에 대한 의식이 새로워지면서 나라 문자의 중요성도 커졌다. ‘언문’은 다시 ‘국문’이란 이름을 얻고 사용되기 시작했다. 갑오개혁 때 ‘국문’은 국가의 공식 문자가 된다. 공문서에 ‘국문’을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국문’의 시절은 오래가지 않았다. 일제강점기 ‘국문’은 곧 일본의 ‘가나’를 가리키게 됐고 ‘국어’는 ‘일본어’를 뜻하게 됐다. 우리 고유문자를 가리키는 새로운 이름이 필요했다. 이런 상황에서 ‘한글’이 탄생했다. ‘한글’은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보여 주는 것이었고, 우리 정신을 지키는 무엇이기도 했다. 이렇게 ‘한글’에는 문자 이상의 구실을 한 역사가 있다.

이경우 어문팀장 wlee@seoul.co.kr
2016-10-06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