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교육 뉴딜/배상훈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

[열린세상] 교육 뉴딜/배상훈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

입력 2017-01-15 17:56
업데이트 2017-01-16 0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퇴임하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한국 교육에 대한 언급이 많았다. 우리에겐 문제투성이지만 그의 눈에는 본받을 점도 있었던 모양이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교사들을 ‘국가를 건설한 사람들’로 칭한 대목이다. 1953년 한국전쟁이 휴전에 들어갔을 때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67달러였다. 2015년 2만 7000달러로 반세기 만에 400배 이상 증가했다. 2015년 유엔개발계획이 발표한 한 나라의 사회발전 정도를 보여 주는 인간개발지수에 따르면 한국은 세계 188개국 중 17번째다. 전쟁으로 폐허가 됐던 나라가 불과 60년 만에 이룩한 발전에 세계가 놀랄 만하다.

배상훈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
배상훈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
무엇이 이런 기적을 만들었을까. 많은 전문가들은 교육의 역할이 컸다는 데 동의한다. 인재 양성이 가난에 찌들고 피폐했던 나라를 주요 20개국(G20) 국가의 반열로 이끈 동력이었다는 것이다. 오바마는 힘든 상황에서도 교육과 국가 발전에 헌신했던 교사들의 역할에 주목했다. 오늘의 한국을 건설한 위대한 집단이라는 것이다. 많은 개발도상국 지도자들이 우리 교육 시스템, 특히 교사를 어떻게 양성하고 지원하며 활용하는지를 배우기 위해 찾아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일 것이다.

지금 나라가 위기다. 경제가 어렵고 사회도 혼란스럽다. 정치와 민주주의는 시험대에 올랐다. 많은 처방이 제시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교육이다. 다가오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슬기롭게 대비하는 길도 인재의 양성에서 찾아야 한다. 사람 기르는 일에 대한 국가 차원의 획기적 투자, 교육 뉴딜을 제안한다. 1930년대 미국이 경제 뉴딜 정책으로 대공황의 위기를 극복했다면 우리는 교육 뉴딜로 당면한 총체적 어려움을 이겨 내고 새로운 도약을 꾀하자는 것이다. 교사에 대한 투자가 우선이다. 어느 때보다 공격적인 재정투자가 필요한 시점에서 인기 위주의 일회성 사업보다 교사를 양성하고 활용하는 데 공적 자금을 적극적으로 쓰자는 것이다. 2015년 통계를 보면 약 4만 4000명이 교원임용시험에 응시했지만 5000명 정도만 선발했다. 사범 교육을 받고 교사가 되겠다는 열망을 가진 인재들이 사회적으로 사장되고, 일부는 사교육 시장으로 간다. 반면 학교 현장은 더 많은 뛰어난 교사를 원하고 있다. 내 자식 하나하나를 제대로 돌보고 질 높은 맞춤형 교육을 하기엔 교사당 학생수가 많다. 교육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열정과 전문성을 골고루 갖춘 젊은 교사들을 많이 뽑아 학교에 배치하고 교육에 새바람을 불어넣는 국가적 사업을 펼치자는 것이 교육 뉴딜이다.

물론 충원만이 능사는 아니다. 교사의 양성, 임용, 재교육 전반에 걸친 변화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산업화와 민주화 시대의 인재 양성 패러다임에 맞춰진 교사 교육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교과 지식과 교수법을 숙달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혼돈과 희망이 교차하고 인간과 기술, 개인과 공동체가 공존하는 새로운 시대를 맞아 어떤 인재를 길러야 할지를 합의하고 교원 양성 과정에 담아내는 것이 더욱 요청된다. 성숙한 시민의식을 가진 사람을 기르고 사회적 정의를 구현하는 데 교육이 더 앞장서라는 시대적 요구도 외면하기 어렵다.

교원 정책의 기조도 바뀔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채찍과 당근을 썼다. 교원평가제와 성과급으로 교사들을 움직이려 했다. 하지만 외재적 동기로만 교사들의 마음이 바뀔지는 의문이다. 오히려 냉소와 분열만 키운다는 평가도 있다. 성균관대 연구팀에 따르면 교사들은 학생들과 상호 작용하고 그들이 커 가는 것을 보면서 교직에 몰입하고 성취감을 느낀다. 자기들끼리의 경쟁과 외적 보상보다 아이들의 반응과 성장을 보면서 행복을 느끼고 움직인다는 말이다. 교육 뉴딜 시대에는 교사들이 아이들과 최대한 많이 교류하고 그들의 변화와 성장을 느끼면서 가르치는 일에 몰입하도록 하는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많은 교육 정책이 있었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한계가 있었다. 제 길을 놔두고 돌아갔기 때문이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고 사람을 키우는 일에 몰입하도록 하는 것만큼 강력하고 효과적인 정책은 없다. 오바마의 말처럼 국가를 바로 세우고 미래를 대비하는 길이기도 하다. 국가 차원의 결단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때다.
2017-01-16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