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혜주의 포크&라이프] 좋은 쌀, 나쁜 쌀, 우리집 쌀

[김혜주의 포크&라이프] 좋은 쌀, 나쁜 쌀, 우리집 쌀

입력 2017-02-10 17:34
업데이트 2017-02-10 17: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혜주 알덴테북스 대표
김혜주 알덴테북스 대표
하마터면 멀쩡한 전기밥솥을 버릴 뻔했다. 어느 날부터 밥 꼴이 말이 아니었다. 물양도 조절해 보았고 쌀 불리는 시간도 달리해 가며 애써 봤지만 도무지 예전의 그 밥이 아니었다. 서둘러 고무 패킹을 새것으로 교체했다. 무슨 일이람, 도통 요지부동이었다. 결국 수명이 다한 걸로 결론을 내리려는 그때 아차 싶었다. 왜 진즉 쌀에 문제가 있을 거라는 생각을 못 했을까. 당장 마트의 양곡 코너를 찾았다. 도정기에서 즉석으로 도정한 쌀로 밥을 지은 그날 드디어 집 나간 밥이 돌아왔다.

평소 쌀을 구입할 때 내가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은 품종과 도정 일자다. 문제가 됐던 익숙한 브랜드의 그 쌀은 지난해 말 인터넷에서 구입한 것이다. 평소보다 무척이나 저렴했던 가격에 순간 현혹돼 별다른 확인을 하지 않았다가 된통 당한 것이다. 쌀 포대를 버린 탓에 확인할 수는 없지만 분명히 2016년산 쌀도 아니었을 가능성이 크다. 후회는 막심했지만 생생한 교훈은 얻었다. “다시 보자, 도정 일자! 잊지 말자, 품질 등급!”

쌀은 도정한 후부터 산화가 시작돼 점점 수분, 찰기 등을 잃는다. 맛있는 밥을 짓고자 한다면 반드시 도정 일자를 확인하고, 되도록 한 달 이내에 먹을 수 있는 양만큼만 구입하는 것이 좋다. 쌀을 밀폐 용기에 넣어 최대한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쌀 포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품질 등급을 통해 완전미 비율 여부를 알 수 있다. 흔히들 좋은 쌀은 본연의 타원형으로 금이 가거나 깨져 있지 않고, 불투명한 부분 없이 맑고 투명해야 한다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완전미 비율이 높아 특등급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이다. 완전미 비율이 낮은 쌀은 보관 중 산화 속도가 빠르다.

혼합 품종의 쌀보다 단일 품종의 쌀이 밥맛이 좋다. 우리나라는 소비자에게 품종을 알려 주는 일이 지극히 드문데, 다행히 쌀은 예외다. 국립종자원 국가 품종 목록에는 밥용 쌀 품종으로 170여종이 등재돼 있다는데 쌀 포대에서 품종을 확인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소비자단체가 2003년부터 실시해 오고 있는 대한민국 명품쌀 선정 평가(전국 12대 고품질 브랜드쌀 평가가 2016년부터 이 이름으로 변경됐다) 결과를 참고하는 편이다. 국내에는 무려 1800여개의 쌀 브랜드가 있다고 한다.

잠깐 최근 2년의 결과를 소개해 보자면, 지난해 대상은 일미 품종의 전남 담양산 쌀이 차지했다. 최우수상은 신동진 품종의 전북 김제산 쌀이 받았다. 최다 선정된 품종은 추청이다. 톱 10에 이 품종 쌀 4개가 들었다. 2015년 평가에서는 삼광 품종의 브랜드 쌀이 3개, 추청, 신동진, 호평 품종의 쌀이 각각 2개씩, 그 밖에 일미, 일품, 히토메보레 품종의 쌀들이 순위에 들었다. 삼광 품종의 쌀은 이해 금상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내가 지금 먹고 있는 쌀 역시 삼광 품종으로 2008년, 2013년, 2014년 심사에서 톱 12에 선정된 바 있다.

아주 오랫동안 특정 지역의 특정 브랜드 쌀 몇 개가 최고인 줄 알았다. 이제는 쌀도 와인처럼 골라 먹는 재미가 있다는 것을 안다. 같은 품종이라도 생산 지역이 다를 때는 그 맛이 어떻게 다를까 궁금하다. 쌀도 와인처럼 품종마다 최적의 지역이 있지 않을까.

해프닝 덕에 내 관심은 다시 가정용 도정기에 꽂혀 버렸다. 한때 진지하게 살까 하다가 만만치 않은 가격과 공간의 협소함으로 마음을 접었더랬다. ‘갓 도정한 쌀로, 갓 지은 따뜻한 밥! 그것을 원할 때마다 먹을 수 있다고 생각해 봐~봐~봐~.’ 오 마이 갓! 아직도 구입을 결정짓지 못한 나는 오늘도 환청과 씨름 중이다.
2017-02-11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