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론] 경의선 숲길 유감/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

[시론] 경의선 숲길 유감/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

입력 2017-02-20 23:00
업데이트 2017-02-2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
철길을 숲길로 탈바꿈한 사례들이 여러 도시에서 들린다. 작은 도시개발사업의 하나로만 치부하기엔 적잖은 감동을 주는 경우가 많다. 소음·진동으로 생활이 불편하고 동네가 단절돼 쇠락을 거듭하던 곳에서 주원인이었던 철길이 사라졌으니 그럴 만도 하다. 그러나 진정한 감동은 녹슨 철길이 스토리가 있는 생명의 숲길로 거듭나는 것이다. 이는 공간 재생을 둘러싼 지역사회의 치열한 고민의 결과이기도 하다. 파괴된 지형을 복원하고, 장소의 역사를 보전하며 녹지축을 연결하고 숲길 관리의 주체를 정해 가는 과정들. 이런 과정 전체가 바로 재생된 숲길의 스토리다. 이는 토건 개발에 매몰된 도시를 사람 중심 도시로 전환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서울의 경의선 숲길, 용산 문화체육센터부터 마포 가좌역까지 6.3㎞ 구간은 바로 이런 과정을 통해 태어났다. 다른 점이 있다면 철로를 없애는 대신 지하로 내린 점이다. 2005년 지하화를 시작한 경의선 상부 유휴 부지를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부터 제공받아 서울시가 457억원을 들여 10만 2008㎡의 선형 녹지이자 시민 휴식 공간으로 꾸민 곳이 경의선 숲길이다. 2009년 11월 공사를 시작해 2016년 5월 완료된 숲길은 3단계에 걸친 모든 구간에서 설계와 시공, 이후 관리까지 시민 참여가 바탕이 됐다. 도심부 고유의 지형지세를 살리고 자연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옛 도시 조직과 역사문화 자원을 최대한 보존·복원하며 조화로운 경관을 창출하도록 노력했다. ‘2015년 서울시 10대 뉴스’ 중 2위에 선정될 만큼 경의선 숲길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와 만족도는 높다.

이렇게 태어난 경의선 숲길이지만 유감스럽게도 개발주의 시대의 그림자는 여전히 아른대고 있다. 경의선 가좌역부터 효창공원앞역까지 6.3㎞ 전 구간이 하나로 이어진 선형공원을 이루지 못한 점이 그러하다. 이는 1차적으로 숲길을 가로지르는 크고 작은 도로의 탓이 크다. 도로로 인해 숲길이 이곳저곳이 끊기는 바람에 조금만 걷다 보면 횡단보도를 건너야 하거나 다른 길로 우회해야 한다. 이는 선형 녹지의 단절은 물론 이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에도 적잖은 문제를 남겼다. 더 심각한 문제는 철도역사와 판매시설, 호텔, 컨벤션시설 등이 들어간 복합역사로 인해 선형공원이 중간중간에 크게 끊어져 있다는 점이다. 이는 나무 숲 대신 빌딩 숲이 일정 간격으로 숲길을 채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덕역 일대에서는 이미 큰 면적의 빌딩 숲이 자연 숲을 대체하고 있다. 2010년 무상임대 협약 체결 전에 부지 사용 계약이 체결된 공덕역 구간은 대규모 복합역사 개발이 일찌감치 끝났다. 이어 공덕역의 마포대로 건너편 부지에도 12층 1개동, 8층 1개동의 대규모 개발이 예정돼 있다. 서쪽으로 이동해도 같은 현상이 반복된다. 홍대입구역은 복합역사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고, 서강대역도 비슷한 개발이 준비 단계에 있다. 계획안을 들여다보면 서강대역 부지에는 15층 1개동, 14층 2개동이 나란히 들어설 예정이다. 2개 동은 오피스텔이어서 당초 복합역사의 취지에도 맞지 않는다.

이렇게 선형공원 중간에 들어선 대형 건축물들은 구조물 자체로도 위압감을 줄 뿐만 아니라, 공원·녹지 축의 단절로 인해 시민들의 공원 이용에 불편을 초래하고, 심각한 경관 부조화를 만들어 낸다. 더불어 주변 개발 수요를 자극해 대형 건축물들이 무분별하게 숲길을 따라 들어서는 빌미가 되기에 충분하다. 이렇게 된다면 선형공원의 물리적 공간 단절을 넘어 숲길 전체의 경관적 가치, 생태문화적 기능, 녹지 공간을 활용할 시민 권리가 심각히 훼손되는 상황이 닥칠 우려가 높다. 결국 철길을 숲길로 재생시키는 의미 자체가 실종되는 꼴이 된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사업성 위주로 고려하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무리한 민간 투자 사업이 이런 결과를 초래하는 주된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한정된 국가 재정 속에서 철도 건설 사업의 재원 마련은 중요하다. 하지만 이것이 힘들여 재생한 생명 공간을 도로 개발주의 시대로 퇴행하듯 반생명적 공간으로 후퇴시키는 이유가 될 수는 없다. 경의선 숲길은 그동안 철길로 인해 100년 가까이 고통을 겪은 지역 주민들의 희생을 보상하되 사람 중심 도시로 재생시키는 방향으로 만들어야 한다.
2017-02-21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