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中 경쟁시켜… ‘脫석유 경제’ 발판 삼는 사우디

日·中 경쟁시켜… ‘脫석유 경제’ 발판 삼는 사우디

이석우 기자
입력 2017-03-13 22:56
업데이트 2017-03-14 0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살만 국왕 日방문… 아베와 회담

사우디에 日경제특구 설치 합의
내일 중국으로 이동해 경협 논의
양국 투자·기술 노하우 끌어들여
석유 의존서 新산업 추동력으로
이미지 확대
사우디 국왕 46년 만에 日 방문
사우디 국왕 46년 만에 日 방문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왼쪽) 사우디아라비아 국왕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1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를 하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날 회담에서 양국은 사우디에 일본 경제특구를 설치하고 일본의 공장과 연구 거점을 유치하는 등 두 나라가 전략적 협력을 가속화하기로 한 ‘일본·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에 합의하고 양해각서를 교환했다.
도쿄 AP 연합뉴스
중동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가 일본과 중국을 경쟁시키면서 ‘탈석유 경제’에 시동을 걸었다.

지난달 27일 말레이시아를 필두로 이례적으로 긴 한 달간의 아시아순방을 시작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은 13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서 ‘일본·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에 합의하고 양해각서를 교환했다.

사우디에 일본 경제특구를 설치하고 일본의 공장과 연구 거점을 유치하는 등 두 나라가 전략적 협력을 가속화하기로 한 것이다. 사우디에 공장 설립을 위해 도요타자동차 등이 사우디 국가산업클러스터·개발계획청과 협의하고 일본 외무성은 비자 발급 요건 완화를 추진하는 등 우선 30건의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했다.

순방의 두 축 가운데 하나인 일본에서 일단 예상 이상의 성과를 손에 쥔 살만 국왕은 15일부터 시작되는 다음 방문지 중국에도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중국에서는 물류, 운송, 건설, 금융 서비스 분야 등의 합의와 ‘차이나머니’의 사우디 투자 프로젝트에 합의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도쿄의 외교 소식통들은 이날 “살만 국왕과 사우디 정부가 아시아순방 준비 단계부터 일본과 중국을 경쟁시켜 가면서 협력 프로젝트와 합의 목록을 준비했다”고 전했다. 일본으로부터는 자동차 및 로봇산업, 금융서비스 협력과 기술인력 연수 등을 얻어내려고 애를 썼다. 사우디 국왕의 일본 방문은 46년 만이다.

반면 중국에서는 물류·운송 및 건설, 에너지 협력에 방점을 뒀다. 일본과 중국을 경쟁시켜 좋은 조건을 얻어내고 두 나라의 강점을 흡수해 자국의 탈산업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시도다.

사우디는 저유가의 충격 속에서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석유 이외의 여타 산업 기반을 구축하는 산업의 다각화를 위해 세계의 공장이자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아시아를 겨냥하면서 국가별로 전략적 협력 구축을 고심해 왔다. 살만 국왕의 이번 순방은 이런 상황을 깔고 있고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의 핵심 국가들이 끼어 있는 것도 이런 전략을 엿보게 한다.

이번 일·사우디 합의에서 일본의 JX그룹은 사우디 아람코와 정유소 및 석유화학 공장 건설 등 석유 및 가스 기술개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일본 굴지의 정유회사인 이데미쓰와 스미토모 화학도 참여한다. 사우디에서 연간 원유 수입량의 30% 이상을 사들이고 있는 일본과 사우디의 ‘에너지연맹’이 수립됐다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다. 일·사우디의 에너지협력은 자칫 일본에 상당량의 정유와 석유제품을 수출하고 있는 한국에 큰 타격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일본 기업의 공장과 연구 거점의 유치를 위해 사우디는 특구와 관련해 일본에 투자 규제 완화, 세제상 우대 및 통관 간소화, 인프라 정비 혜택 등을 약속했다. 중국과의 협상과 반대급부도 주목된다.

경제적인 목적 외에도 미국에 대한 반발이 아시아 중시 정책의 정치외교적 배경이라는 지적도 있다. 사우디는 최근 이란과 화해한 미국에 불만을 표시하면서 중국, 러시아 등과의 관계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7-03-14 1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