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태원·신동빈회장, ‘靑압박’에 빚내서 ‘朴주도’ 청년펀드 출연

최태원·신동빈회장, ‘靑압박’에 빚내서 ‘朴주도’ 청년펀드 출연

입력 2017-03-26 10:02
업데이트 2017-03-26 1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태원, 출소 3개월 때 60억…신동빈, 순환출자 없애느라 ‘현금 0’ 상태서 70억

이미지 확대
최태원 회장 검찰 출석
최태원 회장 검찰 출석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8일 오후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 들어서고 있다. 2017.3.18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굳은 표정의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굳은 표정의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20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롯데 일가 비리 첫 재판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들어서고 있다. 2017.3.20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2015년 박근혜 전 대통령 주도로 만든 청년희망펀드에 돈을 내기 위해 최태원 SK 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은행 빚까지 냈던 것으로 확인됐다.

박 전 대통령이 솔선수범해 사재를 털었는데 재벌 총수가 ‘성의’를 보이지 않을 경우 혹시나 불이익을 입지 않을까 우려해서다. 펀드 조성 당시에도 취지는 좋지만, 기부금으로 일자리를 만든다는 목표의 실효성이 낮아 보인다는 평가와 기업 ‘팔 비틀기’가 되는 것 아니냐는 노동계의 지적이 나온 바 있다.

26일 재계와 기존 검찰 조사, 최순실씨 공판 과정에서 나온 발언 등을 종합하면 최 회장과 신 회장은 2015년 11월 청년희망펀드에 각각 사재 60억원, 70억원을 출연하면서 현금 마련을 위해 은행에서 대출까지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 보유주식 기준으로만 보면 최 회장이 가진 주식 자산가치는 3조6천억원(국내 5위), 신 회장이 가진 주식 자산가치는 1조4천억원(국내 12위)에 달한다.

그러나 당시 최 회장은 광복절 특사로 수감 생활에서 벗어난 지 석 달밖에 되지 않아 수중에 현금이 많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구속 수감으로 SK주식회사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던 터라 2016년 3월 등기이사로 복귀하기까지 급여를 받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신 회장은 롯데그룹의 순환출자 고리를 해소하기 위해 롯데건설이 보유한 롯데제과 지분 약 30%를 매수하는 데 사재 1천억원을 털어 넣은 뒤였다. 롯데그룹의 ‘거미줄식’ 순환출자 구조에 비판 여론이 일던 시점이었다.

두 회장 모두 수십억원대 현금 출연을 위해 은행에 손을 벌릴 수밖에 없는 처지였던 것이다.

지난해 11월 두 회장을 조사한 검찰은 수중에 돈이 없는 상태에서 이들이 돈을 빌려서까지 재단에 굳이 출연한 이유에 주목했다. 혹시라도 대가성을 띤 게 아닌지 의심한 것이다.

최 회장은 조사에서 “청년희망펀드에 대통령도 출연했기 때문에 저도 해야 한다고 실무진이 권했다”고 진술했다.

신 회장은 “고(故) 이인원 부회장이 ‘대통령이 추진하는 사업이라 우리만 안 내면 안 된다’고 해서 70억원을 냈다”며 비슷한 취지로 답변했다.

삼성 이건희 회장이 200억원을 내는 등 재벌가 총수들이 모두 출연한 상황에서 자신만 돈을 내지 않으면 정부로부터 불이익을 당할 것을 우려해 어쩔 수 없이 낼 수밖에 없었다는 하소연이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이승철 부회장도 펀드 조성 과정에서 기업들에 사실상 압박이 있었다고 털어놨다.

이 부회장은 올해 1월 19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최순실씨 공판에 증인으로 나와 “대통령이 먼저 2천만원을 내고 월급도 내겠다고 했는데 그건 사실 총수에게 압박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며 “대통령이 냈는데 기업들이 안 내겠냐”고 진술했다.

청년희망펀드는 청년에게 좋은 일자리를 제공할 목적으로 기부를 받아 조성된 공익신탁형 기부금으로, 2015년 박 전 대통령의 제안으로 만들어졌다.

청년희망재단이 운영하며 청년 일자리창출사업과 지원사업에 재원을 활용한다는 게 재단 측의 설명이다. 3월 현재 누적 기부액은 1천462억원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