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공동체 깨진 ‘이전 도시’ 부적응·직무 스트레스로 ‘막다른 선택’

공동체 깨진 ‘이전 도시’ 부적응·직무 스트레스로 ‘막다른 선택’

박찬구 기자
입력 2017-03-28 22:48
업데이트 2017-03-29 0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종시 ‘가파른 자살률’ 왜

젊은 층 많고 소득 수준 높지만
가족 등과 떨어져 대화상대 적어

원룸 생활로 정신건강도 나빠져
최근 수년간 세종시 자살률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공무원들은 직장 내 문제로, 일반인은 정신적인 문제로 막다른 선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달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찾아가는 공무원 건강검진’ 특별행사 모습이다. 서울신문 DB
최근 수년간 세종시 자살률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공무원들은 직장 내 문제로, 일반인은 정신적인 문제로 막다른 선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달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찾아가는 공무원 건강검진’ 특별행사 모습이다.
서울신문 DB
지난 1월 국민안전처는 2015년 전국 광역자치단체 17곳의 10만명당 자살자 수 통계를 발표하며 세종시의 자살률이 가장 낮게 집계됐다고 밝혔다. 젊은 층의 대거 유입으로 세종시의 자살률이 ‘전국 최저’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안전처는 또 자살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에서는 만 65세 이상 노인의 빈곤과 정서적 고립 현상을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세종시와 세종경찰서, 중앙자살예방센터의 최근 3년간 지역별 자살률 통계를 분석하면 국민안전처의 이 같은 설명은 현실 상황과 맥락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세종시의 전체 내국인 인구는 2015년 말 기준으로 24만 3048명(외국인 포함 시 24만 6792명)이며 이 가운데 20대는 2만 6523명, 30대는 4만 5951명, 40대는 4만 4188명으로, 20~40대가 48.0%로 절반에 가깝다. 공무원의 세종 이전 등으로 소득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다. 2015년 말 현재 세종시 관내 공무원은 중앙행정기관과 국책연구기관, 세종시 소속 등 모두 1만 9448명으로, 세종시 인구의 8.0%를 차지한다.

20~40대 젊은 층이 많고 소득 수준이 높은데도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3년간 세종시의 자살률은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젊은 도시’ 세종의 역설이다.

보건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28일 “어떤 지역이든 국가든, 노인층이 많을수록 신체적·경제적 요인으로 자살률이 높은 게 통상적인 경향”이라며 “세종시는 이 같은 통념과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일까. 세종시 정신건강증진센터 김현진(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센터장은 “세종시는 생산연령 인구가 중심이 되는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라며 “신도시 조성으로 임대주택이나 원룸 입주자가 많은 특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 정부세종청사의 한 관계자는 “개발 바람이 부는 신도시에서 기존 공동체가 깨지면서 생기는 갈등이 자살률 상승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며 “특히 세종시는 ‘이전 도시’에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가 자살률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미지 확대
세종청사에서 근무하는 일선 공무원과 정신상담센터 관계자는 ‘세종시 이전에 따른 가족·지인과의 분리’, ‘업무 스트레스 해소 매체의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공무원들이 많다고 전한다. 물론 세종시의 전체 자살 건수에 세종청사 공무원의 사례가 얼마나 포함됐는지는 정부 차원에서 공식 집계나 통계로 관리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섣불리 예단할 수 없다. 다만 세종청사 주변에서는 청사 이전 이후 이런저런 흉흉한 얘기가 나돌았고, 일부 부처에서는 막다른 선택을 한 동료 공무원들의 사연이 간간이 들리기도 한다.

익명을 요구한 세종청사의 40대 공무원은 “부처 이미지와도 관련되는 사안이고 젊은 사무관들이 문제가 생긴 부처에 지원을 꺼릴 수 있어 어느 부처든 문제를 드러내놓고 공론화하길 원치 않는 분위기가 팽배하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세종지역 관련 공무원이나 상담센터 종사자 등은 ‘이전한 도시’ 세종에서의 생활이 공무원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한다. 한 서기관급 공무원은 “공무원이 가장 힘들어하는 것은 직무 스트레스이며 그 강도는 일반 직업의 관리부서보다 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퇴근 후 세종청사 주변 원룸에서 생활하는 일선 공무원의 경우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무엇보다 공무원이 힘들어하는 ‘직장 내 문제’로는 상급 관리자와의 갈등 관계가 꼽힌다. 세종청사 내 정신건강 상담지원센터를 찾는 공무원들 상당수가 관리자와의 관계에서 빚어지는 업무 관련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인 차원의 문제로 치부할 게 아니라 세종청사 전 부서 차원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업무 갈등을 해소해 나갈 수 있는 정책적 프로그램이 시급한 이유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일선 공무원의 업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며 “예를 들면 일가 양립이나 연가 보장 등으로 공무원이 제대로 업무에 열중할 수 있도록 조직 분위기를 개선하고 정신건강 상담 관리를 강화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세종시 지역 차원에서도 주민들이 이전 도시에 적응할 수 있도록 공동체 의식을 강화해 나가는 지속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2017-03-29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