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체·조판 등 인쇄활자로 보기 어렵고 출처 불분명”

“서체·조판 등 인쇄활자로 보기 어렵고 출처 불분명”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4-13 23:28
업데이트 2017-04-14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증도가자’ 보물 지정 부결 이유

글자 각도·굵기, 인쇄본과 편차 커
고려시대 활자 가능성은 열어둬
13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황권순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장이 7년 동안 진위 논란을 빚어온 증도가자에 대한 문화재위원회의 보물 지정 안건 부결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13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황권순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장이 7년 동안 진위 논란을 빚어온 증도가자에 대한 문화재위원회의 보물 지정 안건 부결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2010년 9월 다보성고미술 측이 공개한 증도가자 실물 12점. 서울신문 DB
2010년 9월 다보성고미술 측이 공개한 증도가자 실물 12점.
서울신문 DB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가 되느냐로 국민적 관심을 모았던 일명 ‘증도가자’가 문화재의 가치가 없는 것으로 결론 지으며 7년을 끌어온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13일 증도가자 101점에 대한 보물 지정 여부를 심의한 문화재청 동산문화재분과위원회는 부결 결정을 내렸다. 위작이라고 볼 증거는 찾지 못했으나 이것이 곧 진품이라는 뜻도 아니라는 게 요점이다.

하지만 2010~2014년 네 차례에 걸쳐 진행된 방사성탄소연대측정에서 활자에 묻은 먹의 연대가 11세기 초~13세기 초로 모두 고려시대 것으로 결론났다. 때문에 문화재청은 국가문화재로 지정 신청된 활자가 “증도가자는 아니지만 고려시대 활자일 가능성은 열어뒀다”고 밝혔다.
증도가자의 보물 가치가 인정되지 않은 것은 서체 비교, 주조, 조판 등에 대한 과학조사 결과 목판 복각본인 고려시대 불교서적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이하 증도가·보물 758-1호)를 인쇄한 활자로 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증도가자 활자와 증도가의 서체를 비교한 결과 글자 모양, 각도, 획의 굵기 등이 대조집단인 조선시대 금속활자 임진자(1772)와 그 복각본에 비해 평균 유사도가 낮고, 유사도의 편차 범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황권순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장은 “특히 조판 실험 결과가 부결의 결정적 원인이었다”고 지적했다. 증도가에는 한 페이지에 8행 15자로 조판이 되어 있다. 하지만 증도가자의 모형을 만들어 조판을 해 본 결과 증도가보다 활자 크기가 더 컸다. 때문에 증도가자로 증도가를 찍었다고 볼 근거가 크게 약해진 것이다.

증도가자가 처음 공개된 직후부터 논란거리였던 출처와 소장 경위가 불분명하다는 점은 이번 부결에도 영향을 미쳤다. 소장자이자 국가문화재 지정 신청자인 김종춘 다보성고미술 대표가 금속활자 200여점 구입 당시 같이 사들였다고 주장한 청동초두, 수반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도 신청 활자가 고려금속활자라고 결론낼 수 없는 이유였다.

증도가자는 문화계의 해묵은 숙제였다. 2010년 9월 김종춘 대표와 남권희 경북대 문헌정보학과 교수는 활자를 일부 공개하며 증도가를 인쇄할 때 사용된 증도가자라고 주장했다. 이듬해 국가문화재 지정 신청을 내며 진위 여부를 둘러싸고 오랜 논쟁이 시작됐다.

증도가자는 목판 복각본인 증도가만 남아 있을 뿐 금속활자로 찍은 책이 없어 태생적으로 진위를 가리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정확한 제작 시기를 측정할 수 있는 (활자에 묻은) 먹이 더 이상 남아 있지 않다는 점, 출토지가 불분명하다는 점도 걸림돌이 됐다.

하지만 문화재청이 탄소연대측정 결과를 근거로 증도가자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활자일 가능성은 남아 있다고 밝힌 만큼 이후에도 조사와 심의는 이뤄질 수 있다. 현재까지 고려금속활자로 확정된 유물은 없다.

황권순 유형문화재과장은 “신청자와 협의를 거쳐 청동초두, 수반을 제출받아 분석할 수 있거나, 지금까지 확인된 증거나 자료 외에 고려금속활자임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가 확보되면 (고려시대 활자인지를) 계속 조사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재심의가 가능하려면 취득 경위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날 심의 결과에 대해 김종춘 대표는 “문화재 신청을 ‘고려활자’로 할지 검토하거나 행정심판 등의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다. 남권희 경북대 교수는 “과학적 검증을 통해 진본이라는 증거를 이미 충분히 보여 줬다. 이는 증도가자의 문화재 지정을 막으려는 의도”라고 반발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4-14 25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