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천500년전 금동신발서 파리 번데기 껍질…“시신 바로 안묻었다”

1천500년전 금동신발서 파리 번데기 껍질…“시신 바로 안묻었다”

입력 2017-04-17 10:02
업데이트 2017-04-17 1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최소 6.5일간 무덤 밖에서 장례 절차”

나주 정촌고분 1호 돌방(석실)에서 2014년 12월 발견된 1천500년 전 금동신발에서 파리 번데기 껍질이 확인됐다. 파리 번데기 껍질이 고대 인골이나 매장 유물에서 발견된 것은 국내 최초다.

이는 장례를 치를 때 시신을 바로 묻지 않고, 외부에서 일정 기간 의식을 치른 뒤 매장하는 ‘빈장’(殯葬)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금동신발 내부의 흙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매장자의 발뒤꿈치 뼛조각과 함께 파리 번데기 껍질 10여 개를 찾아내 법의곤충학적 분석 연구를 진행했다고 17일 밝혔다.

법의곤충학은 시체에 있는 곤충을 통해 매장자의 사망 시간 등을 알아내는 학문이다.

오동선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시신은 바로 묻지 않으면 몇 시간 만에 파리가 모여드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파리 번데기 껍질은 빈장을 뒷받침하는 흔적”이라고 말했다.

연구소는 정촌고분 1호 돌방처럼 빛을 차단한 뒤 평균온도 16도, 습도 90%의 환경을 만들어 파리의 생태 변화를 분석한 결과, 알이나 구더기는 성충이 되지 않고 번데기 상태일 때만 성충으로 변한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이에 대해 오 연구사는 “시신이 매장되기 전에 이미 파리 번데기가 금동신발에 존재했다고 봐야 한다”며 “파리가 알에서 번데기가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인 6.5일 동안은 시신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였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연구소는 이 파리의 종이 지금도 정촌고분 주변에 서식하는 ‘검정뺨금파리’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오 연구사는 “검정뺨금파리는 주로 5월부터 11월까지 활동하는데, 정촌고분의 매장자도 이 시기에 사망했을 것”이라며 “고분의 기후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촌고분은 한 변의 길이가 약 30m, 높이가 9m인 5세기 후반 무덤이다. 내부에서는 돌방(석실) 3기, 돌널(석곽) 4기, 독널(옹관) 6기 등이 확인됐다.

연구소는 앞으로 파리 번데기 껍질과 함께 출토된 고(古) 인골을 분석해 무덤 주인공의 사망 원인과 연령, 식습관, 신체 크기 등을 밝혀낼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