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선 후보에 바란다-3대 취약계층을 살리자] 비정규로 시작 대졸 40%, 7년 후에도 비정규직

[대선 후보에 바란다-3대 취약계층을 살리자] 비정규로 시작 대졸 40%, 7년 후에도 비정규직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7-04-24 22:46
업데이트 2017-04-25 09: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용정보원, 602명 장기 추적

비정규 →2년 뒤 정규직 20.5%… 비정규 임금, 정규직의 53.5%

사회 첫발을 비정규직으로 내디딘 대학 졸업자 10명 중 4명은 7년이 지나도 정규직으로 ‘신분 상승’을 못 한다.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아 이직을 시도해도 2명 중 1명은 똑같이 비정규직이다.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옮기는 경우는 10명 중 2명도 안 된다.
24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년제 이상 대학 졸업생 중 비정규직으로 입사했던 602명을 장기 추적조사한 결과 39.8%(240명)가 7~10년 뒤에도 여전히 비정규직에 머물러 있거나 일부는 비경제활동인구로 전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졸업 후 비정규직으로 사회에 첫발을 디딘 청년이 2년 뒤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경우는 20.5%에 그쳤다. 비정규직으로 3년을 일하고 나서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53.8%)의 절반도 안 되는 22.4%에 불과했다.

취업난이 심각하니 일단은 비정규직으로라도 작은 회사에 들어간 뒤 더 나은 일자리로 옮기려 하는 청년들도 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014년과 2015년 청년 임금근로자 3590명을 대상으로 일자리 이동을 분석한 결과 ‘정규직→정규직’ 이직 비율은 80.4%였다. 반면 ‘비정규직→정규직’ 전환 비율은 45%에 그쳤다. 기업 규모별로도 ‘대기업→대기업’ 이직 비율은 46.8%나 됐지만 ‘중소기업→대기업’은 15.4%에 그쳤다.

청년들이 정규직, 대기업을 선호하는 것은 임금이나 사회보장 수준이 ‘하늘과 땅’ 차이이기 때문이다. 통계청의 근로형태별 조사에 따르면 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을 100%로 봤을 때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은 2016년 53.5%에 그쳤다. 2007년 63.5%까지 높아졌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정규직과의 격차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고용노동부 통계를 보면 대기업 정규직의 임금을 100%로 봤을 때 대기업 비정규직은 64.2%, 중소기업 정규직은 53.2%, 중소기업 비정규직은 34.6% 순이었다.

비정규직의 사회보험 가입률도 정규직에 크게 못 미친다. 정규직의 국민연금 가입률은 지난해 기준 82.9%에 이르지만 비정규직은 2007년 40.0%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해 지난해 36.3%까지 떨어졌다. 비정규직의 고용보험 가입률 역시 지난해 42.8%로 정규직(84.1%)의 절반 수준이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4-25 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