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성호의 문학의 길목] 우리 모두는 어린이

[유성호의 문학의 길목] 우리 모두는 어린이

입력 2017-05-01 21:04
업데이트 2017-05-01 22: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통령 선거에 묻혀 관심이 덜하지만 얼마 있으면 어김없이 어린이날이 돌아온다. 우리 역사에서 어린이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학 작품이 창작되기 시작한 것은 대략 20세기 들어서다. 독립된 주체로서의 어린이 등장이 근대문학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라는 점은 그동안 대부분의 학자들이 동의해 온 사실이다. 국민국가가 제도교육의 일원으로 비로소 어린이를 발견하면서 어린이 문학 역시 매우 중요한 범주로 등장하게 됐기 때문이다.

근대문학 초창기의 선구자 육당 최남선이 “우리 대한으로 하여금 소년의 나라로 하라. 그리하랴면 능히 이 책임을 감당하도록 그를 교육하라”는 취지문을 내걸고 ‘소년’(1908)이라는 잡지를 창간한 것도 어린이의 중요성을 발견한 근대문학의 한 풍경을 보여 주는 획기적 사건이었다. 하지만 이는 어린이 자체에 집중한 것이라기보다는, 오랜 쇄국의 시간 너머로 개방적 근대화를 촉진하려 했던 민족계몽운동의 한 방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도기적 열정에 바탕을 두고 어린이 문학은 소파 방정환에 의해 그 명실상부한 발전을 이루게 된다. 방정환은 일본 유학 중에 동화집 ‘사랑의 선물’(1922)을 낸 바 있고, 1923년 3월 20일 어린이 운동의 중심이 됐던 잡지 ‘어린이’를 창간했고, 1923년 5월 1일 서울에서 처음으로 어린이날 기념식을 거행했다. 그럼으로써 그는 ‘애들’이라는 비칭으로 불렸던 존재들을 ‘어린이’라는 명칭으로 바꾸어 냈다. 어린이 인권의 역사적 도약을 상징하는 어린이날 제정과 함께 어린이 문학의 대중적 보급이 그로 하여 본격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처럼 근대와 전통 혹은 외세와 자주가 가파르게 맞섰던 시기에 방정환은 어린이 문학을 통해 독립 운동과 문학 운동을 펴 나갔으며, 우리말의 소중함을 세상에 널리 제창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어린이 문학 형성기에 주류로 등장한 것이 아마도 ‘동시’(동요)일 것이다. 애국운동의 일환이기도 했던 어린이운동은 수많은 동시 작품이 박태준, 홍난파, 정순철 등의 작곡가들을 통해 세련된 동요로 몸을 바꾸면서 그 대중적 파급력을 확장하게 된다. 매우 활발하게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게 된 근대 동요는 그 점에서 모국어의 힘과 아름다움을 보여 준 첨예한 문학사적 실례였다고 할 수 있다.

한정동의 ‘따오기’, 윤극영의 ‘반달’, 유지영의 ‘고드름’ 같은 동요가 나오면서 이들은 어린이로 하여금 나라 잃은 슬픔을 느끼게 해 주었고 은연중 민족의식이나 독립 정신까지 고취시키는 충정으로 이어져 갔다. 또한 윤석중 등은 어린이들이 한숨짓지 않도록 밝고 희망찬 동시를 썼는데, 밝은 노래를 부르고 싶어도 부를 노래가 없었던 시절 이들의 작품은 어린이들의 밝은 마음을 담아 폭넓은 대중성을 확보하게 된다.

말할 것도 없이 동시는 어린이의 시다. 하지만 동시가 어린이만을 위해 씌어진 시라고 할 수는 없다. 그것은 ‘어린이’는 물론이고 ‘어린이였던’ 기억을 가진 모든 사람이 읽고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어린이였던’ 이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어린 시절의 모습은 때로는 아름답고 때로는 애틋하다. 비록 지금은 그러한 기억들을 잊어버린 채 살아가지만, 아직도 이들에게는 한때 세상을 경이롭게 바라보던 순수한 눈빛과 밤을 꼬박 새우기도 했던 호기심 어린 심장소리가 선연하게 남아 있다. 그러한 기억을 일깨워 주고 다시 경험하게 함으로써 동시는 어린이의 시이면서 ‘어린이였던’ 모든 이들의 시로 새삼 다가오는 것이다.

사실 우리는 모두 어린이였지 않은가. 그래서 우리는 좋은 동시를 읽음으로써 천진한 어린이의 눈빛으로, 세상에서 가장 더운 심장으로, 그리고 삶에 대한 가장 긍정적인 신뢰와 희망으로, 사람과 사물을 다시 마주할 수 있게 된다. 우리 모두는 어린이이고, 어린이날은 그런 어린 시절을 순간적으로 탈환해 주는 날이기도 하다.
2017-05-02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