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종로의 아침] 트럼프여, ‘장진호 전투’를 아는가/박홍환 정치부 전문기자

[세종로의 아침] 트럼프여, ‘장진호 전투’를 아는가/박홍환 정치부 전문기자

박홍환 기자
입력 2017-05-03 23:44
업데이트 2017-05-04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홍환 편집국 부국장
박홍환 편집국 부국장
1950년 한반도의 겨울은 혹독했다. 그해 11월 말 함경도 일대에는 영하 40도의 혹한이 몰아쳤다. 병사들은 동상에 걸리지 않기 위해 손과 발을 헝겊 등으로 칭칭 동여맨 채 꽁꽁 얼어붙은 소총을 부여잡고 죽을 각오로 참호를 사수했다. 인천상륙작전 이후 파죽지세로 압록강과 두만강까지 북한군을 밀어붙이던 국군과 미군, 유엔군은 10월 25일 중공군의 참전 이후 북·중 국경지대에서 남쪽으로 밀려 내려가던 중이었다.

개마고원의 인공호수 장진호에서 사달이 났다. 미 해병 1사단을 주축으로 한 아군 1만 5000여명이 장진호 주변에 매복 중이던 중공군 7개 사단 병력 12만명에게 포위당해 전멸될 위기에 처했다.

11월 27일부터 12월 11일까지 2주일간의 이 처절한 ‘장진호 전투’에서만 미군 4500여명이 전사했다. 하지만 이들의 값진 희생 덕에 나머지 병력과 피난민 10만여명은 흥남을 통해 남쪽으로 무사히 철수할 수 있었다. 당시 2만 5000명 이상이 전사해 궤멸적 타격을 입은 중공군의 남진도 2주일 이상 지체시켰다.

4일(현지시간) 미국 버지니아의 해병대박물관에 장진호 전투 기념비가 세워진다. 기념비 제막식에는 조지프 던포드 미 합참의장과 각군 참모총장, 스티븐 옴스테드 예비역 중장을 비롯한 장진호 전투 참전용사 등이 참석할 예정이라고 한다. 장진호 전투는 한·미 양국이 왜 동맹관계인지를 보여 주는 상징적 사변이랄 수 있다. 그 엄청난 희생을 치르며 피를 나눈 두 나라다. 6·25전쟁 3년간 미군 전사자는 3만 6754명에 이른다. 10만여명이 부상당했고, 실종자도 8000명이 넘는다. 월턴 워커 8군 사령관이 전쟁 중 순직했고, 윌리엄 딘 24사단장은 포로가 됐다.

이처럼 피를 나눈 두 나라는 1953년 정전후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함으로써 한·미 동맹의 기초를 닦았다. 그로부터 64년.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두 나라의 동맹관계는 더욱더 강고해지고 있다. 하지만 존중하지 않는 상대를 신뢰하기는 어렵다.

그런 점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최근 언급들은 유감스럽기 그지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후 “한국이 사실 중국의 속국이었다더라”라며 한국민의 자존심을 짓밟았고, 사드 비용 10억 달러를 한국이 부담하도록 하겠다며 조폭식 으름장을 놓기도 했다. 동맹국의 역사를 훼손하는가 하면 동맹관계를 돈으로 거래하겠다는 저급한 인식까지 드러냈다.

한국 내 반미감정이나 미국 내 반한감정은 한·미 동맹의 적이다. 양국이 ‘같이 가자’(We go together)고 하지만 그것은 상호존중과 상호신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지도자의 말 한마디로 신뢰가 깨지며 심각한 외교적 갈등에 휩싸인 사례는 적지 않다. 시 주석은 부주석 시절인 2010년 “항미원조전쟁(6·25전쟁)은 정의로운 전쟁이었다”고 말해 한국민들을 분노케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언급에도 많은 한국민들이 실망했다.

이제 며칠 뒤면 한국의 새로운 지도자가 선출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곧 그와 만나 한·미 동맹을 강조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전에 장진호전투의 역사부터 숙지하기 바란다. 거기에 한·미 동맹의 모든 것이 들어 있다.

stinger@seoul.co.kr
2017-05-04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