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집이 사람 얼굴처럼 보여서 집 있는 풍경 그렸지”

“집이 사람 얼굴처럼 보여서 집 있는 풍경 그렸지”

함혜리 기자
입력 2017-05-14 17:36
업데이트 2017-05-14 17: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명식 ‘이스트 사이드 스토리’ 개인전

구하면 얻어진다고 했다. 서양화가 김명식(67)의 대표작 ‘이스트 사이드 스토리’ 연작이 탄생한 것도 바로 그런 경우였다.
서양화가 김명식. 집과 사람을 하나로 묶은 그의 작품 ‘이스트 사이드 스토리’는 다양한 인종과 성격의 사람들이 한데 어울려 사는 모습을 담고 있다. 선화랑 제공
서양화가 김명식. 집과 사람을 하나로 묶은 그의 작품 ‘이스트 사이드 스토리’는 다양한 인종과 성격의 사람들이 한데 어울려 사는 모습을 담고 있다.
선화랑 제공
1990년대에 그는 추상적 표현주의 작품으로 작가의 고향인 서울 강동구 고덕동의 옛 이름에서 따온 ‘고데기’ 연작을 줄곧 그렸다. 그러다 어느 순간 작가로서 벽에 부딪혔을 때 슬럼프에서 벗어나기 위해 뉴욕행을 택했다. 1999년 떠난 뉴욕 여행에서 본 다양한 인종과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는 작가에게 큰 영감을 줬고, 2004년 롱아일랜드대학 교환교수로 잠시나마 뉴욕에 둥지를 틀고 작업하게 된 계기가 됐다.

“어느 날 뉴욕의 전철 창문을 통해 비친 성냥갑 같은 작은 집들이 마치 사람의 얼굴로 보였고 백인, 흑인, 황인 등 다양한 인종이 그 ‘집’과 오버랩됐습니다. 그 길로 화실로 달려가 사람처럼 보였던 집이 있는 풍경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피부색이 다른 인종처럼 다양한 색깔의 집들에 창문과 문을 마치 사람의 표정처럼 의인화해 집과 사람을 하나로 묶은 독특한 풍경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고데기’ 연작은 큰 붓을 사용해 그렸던 반면, 자유롭고 대담한 화면구성과 뛰어난 색채감이 돋보이는 ‘이스트 사이드 스토리’는 주로 나이프를 사용한다. 그는 2004년부터 계속하고 있는 ‘이스트 사이드 스토리’ 연작에 대해 “생각과 이념의 차이로 인한 분열과 갈등을 넘어 서로 화합하며 살아가야 할 이상향의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스트 사이드 스토리’ 연작의 최근 작품들이 서울 종로구 인사동 선화랑에서 선보이고 있다. 선화랑에서만 다섯 번째 갖는 초대전이다. 이번 전시에는 작가가 2015년 동아대 예술대학 교수직에서 정년퇴임한 뒤 경기도 용인에서 아들, 손자와 함께 생활하며 그린 유화 40여점이 나왔다.

자그마한 집들이 올망졸망하게 펼쳐져 있는 전원마을 풍경부터 다양한 색깔의 집들이 모여 있는 풍경, 성격이 다른 부부가 서로 의지하고 살면서 닮아 가는 모습을 보여 주는 그림 등 다양하다. 초록빛의 전원 풍경을 자주 접하다 보니 작품에 자연스럽게 초록색이 많아졌다. 붉은색도 즐겨 사용하고 예전의 추상표현주의적 강렬함과 자유분방함도 되살아났다. 정년퇴직 후 전업작가로 인생 2막을 시작한 뒤 그림에 대한 열정과 자유를 찾은 결과다. 전시는 23일까지.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7-05-15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