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노무현 8주기 추도식] ‘盧의 친구’ 넘어 ‘모든 국민의 대통령’으로… 통합·개혁 의지

[노무현 8주기 추도식] ‘盧의 친구’ 넘어 ‘모든 국민의 대통령’으로… 통합·개혁 의지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7-05-23 23:20
업데이트 2017-05-24 0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文대통령 추도사에 담긴 메시지

“저는 앞으로 임기 동안 대통령님을 가슴에만 간직하겠습니다. 현직 대통령으로서 이 자리에 참석하는 것은 오늘이 마지막일 것입니다. 이제 당신을 온전히 국민께 돌려드립니다.”
“당신이 그립습니다” 盧 전대통령 묘역 참배
“당신이 그립습니다” 盧 전대통령 묘역 참배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8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뒤 노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왼쪽부터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 심상정 정의당 대표, 박맹우 자유한국당 사무총장,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 문 대통령, 노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 노 전 대통령 아들 건호씨, 노무현재단 이사장인 이해찬 민주당 의원,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
김해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8주기 추도식에 참석해 노무현 시대와의 작별을 고했다.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되려면 이제 ‘노무현의 친구 문재인’을 잠시 내려놓고 ‘대통령 문재인’으로서 국민에게 무한한 확장성을 보여 줘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고심이 추도사 곳곳에서 묻어났다.

문 대통령은 추도사에서 “우리의 꿈을, 참여정부를 뛰어넘어 완전히 새로운 대한민국, 나라다운 나라로 확장해야 한다”면서 “노무현 대통령을 지켜주지 못해 미안한 마음을 이제 가슴에 묻고, 다 함께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어 보자”고 했다. “반드시 성공한 대통령이 되어 임무를 다한 다음 다시 찾아뵙겠다”고 마지막 인사를 전했다.

두 사람은 친구이자 동지였고, 시대를 함께 걸은 운명적 관계였다. 여전히 노 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의 가장 큰 정치적 자산이다. 그러나 ‘친노’(친노무현)란 딱지는 매번 ‘정치인 문재인’의 성장을 가로막는 프레임으로 작용해 왔다. 문 대통령이 추도사에서 밝힌 대로 ‘모든 국민의 대통령’이 되려면 아이러니하게도 새 정부의 ‘뿌리’인 노 전 대통령을 먼저 극복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당선되면 대통령 자격으로 노 전 대통령 8주기 추도식에 참석하겠다는 약속은 지켰지만, 이번이 마지막이라고 한 것에서 문 대통령의 이런 고민이 읽힌다. 대통령이 특정 전직 대통령의 추도식에만 참석하면 분란이 생길 수 있다는 현실적 문제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굳이 연차 휴가를 내고 휴식 중 봉하마을을 찾은 것도 ‘대통령 문재인’의 추도식 참석보다 ‘자연인 문재인’의 방문에 더 방점을 찍고 싶었던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2011년 자서전 ‘운명’을 쓰고 현실 정치에 첫발을 내디딜 때도 “언제까지나 과거에 머무를 순 없다. 충격, 비통, 분노, 서러움, 연민, 추억 같은 감정을 가슴 한구석에 소중히 묻어 두고 우리가 해야 할 일을 냉정하게 시작해야 한다”고 적었다.

이날 추도사 역시 자서전 ‘운명’의 연장선에 있다. 문 대통령은 이명박·박근혜 정부뿐만 아니라 김대중·노무현 정부 20년을 ‘성찰’의 대상으로 규정했다. 자신이 함께 일궜던 노무현 정부에 대해 “이상은 높았고 힘은 부족했다. 현실의 벽을 넘지 못했다”고 냉정하게 평가했다. “노무현의 좌절 이후 우리 사회, 특히 우리의 정치는 더욱 비정상을 향해 거꾸로 흘러갔고 국민의 희망과 갈수록 멀어졌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 “이제 다시 실패하지 않겠다”며 “성공의 길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개혁 드라이브는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절대 국민보다 앞서가면 안 된다. 반보만 앞서가라’고 했지만, 문 대통령은 “국민이 앞서가면 더 속도를 내고, 국민이 늦추면 소통하며 설득하겠다”고 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7-05-24 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