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칼퇴근법을 다시 생각하며/최광해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부소장

[기고] 칼퇴근법을 다시 생각하며/최광해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부소장

입력 2017-05-25 17:50
업데이트 2017-05-25 17: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광해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부소장
최광해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부소장
1985년 경제기획원으로 첫출근한 날이었다. 밤 열두 시가 넘어도 퇴근하는 사람이 없어 눈치 보느라 앉아 있었다. 새벽 두 시쯤 옆자리 선배가 보고한다고 자리를 뜨자 나는 이때다 싶어 퇴근을 했다. 다음날 선배가 말했다. “최 사무관, 말도 안 하고 일찍 가면 어떡해?” 어이가 없었지만 개발 연대 우리 사회는 그렇게 일했다. 야근과 휴일 근무를 밥 먹듯이 하면서 한강의 기적은 이루어진 것이다.

인터넷과 컴퓨터의 보편화로 근무 능률은 크게 높아졌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오래 일하는 현실은 그다지 바뀌지 않았다. 출세가 지상 가치가 되고 오래 일하는 것이 미덕으로 자리잡으면서 우리의 가정은 무너져 내리고 있다. 나 또한 가정생활이 편할 리 없었다. 남들이 그러니 넘어는 갔지만 긴장과 불화의 연속이었다. 젊은 남녀가 결혼할 생각을 하지 않고 아이 낳기를 꺼리는 건 어쩌면 당연한 결과다. 미국 사람들은 중요한 회사 일이 있더라도 가정에 일이 생기면 휴가를 낸다. 아버지가 오랫동안 휴직을 하고 아이를 돌보는 것도 흔한 일이다. 가정을 최우선시하기 때문에 미국의 출산율이 높은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대선에서 칼퇴근법 공약이 등장한 것은 늦었지만 반가웠다. 법을 만들어 근로 시간이 줄어들고 저녁이 있는 삶이 가능해지면 좋겠다. 생활 습관과 문화를 전반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국회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 주었으면 좋겠다. 공무원과 공공기관의 칼퇴근이 가능하려면 국회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국회법은 대정부질문 전날 밤 12시까지 질의 요지를 주도록 하고 있다. 장관들이 국회의원과의 일문일답을 준비하라는 취지일 것이다. 각 부처의 국회 담당자들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질문지 전체를 입수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 평소 보좌진과 안면을 쌓는 것도 이날을 위해서다. 각 부처의 모든 사람들은 새벽 서너 시쯤이나 끝나는 질문 입수까지 꼬박 기다려야 한다. 실제 회의하는 날도 보고서를 길게 설명하는 등 시간을 소비한다. 회의를 효율적으로 하지 못하는 것은 우리 사회 전반의 병폐다. 회의 석상에서 보고서를 배포하고 그 내용을 설명하느라 오랜 시간을 보낸다. 토론까지 하게 되면 장시간 회의가 불가피하다. 그러다 보면 밤늦게까지 일하게 되고 그런 사람을 유능하다고 믿는 구시대적인 발상이 있는 한 우리 사회의 저녁이 있는 삶은 공염불에 불과하다고 나는 믿는다.

지난해까지 미국 워싱턴의 국제통화기금(IMF)에서 근무하면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일하는 방식이었다. 보고서는 회의 일주일 전까지 배포되고 이사들은 회의 이틀 전까지 대정부 질문과 비슷한 의견서를 발표한다. 이를 보고 사무국은 하루 전날까지 답변을 한다. 보고서 내용과 각자의 입장을 알기 때문에 회의는 추가하거나 강조할 것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대부분 회의는 한 시간 내에 마무리되고 아무리 중요해도 세 시간을 넘기는 일은 흔치 않다. IMF 이사회가 일 년에 약 이삼백 건의 보고서를 논의하고 그리스 사태와 같은 글로벌 현안을 다루면서도 오후 5시 이후나 주말에 회의를 하는 일이 없었다. 칼퇴근법과 함께 맨 먼저 IMF가 생각났던 이유다.
2017-05-26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