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의·도덕 같은 모호한 관념이 한국사회 장애물”

“정의·도덕 같은 모호한 관념이 한국사회 장애물”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7-06-07 22:32
업데이트 2017-06-07 2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훈 장편 ‘남한산성’ 100쇄 기념 특별판… 원고지 120매 분량 ‘못다 한 말’ 담아

“제가 소설 ‘남한산성’에서 전하고자 했던 것은 역사적 담론이나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여러 조건들 그리고 그 관계 속에서 벌어지는 풍경들입니다. 이 풍경들은 ‘말과 길’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문봉선 화백께서 인간이 걸어갈 수 없지만 걸어가야 할 수밖에 없는 길이라는 제 소설의 메시지를 잘 형상화해주신 덕분에 제 책이 유려하고 좋은 미술품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소설가 김훈이 7일 서울 종로구 청운문학도서관 한옥채에서 열린 ‘남한산성’ 100쇄 기념 아트 에디션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소설가 김훈이 7일 서울 종로구 청운문학도서관 한옥채에서 열린 ‘남한산성’ 100쇄 기념 아트 에디션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소설가 김훈(69)의 장편 소설 ‘남한산성’(학고재)의 100쇄 돌파를 기념하는 특별판 ‘아트 에디션’이 나왔다. ‘남한산성’은 1636년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 대군을 피해 인조와 신하들이 남한산성에 머문 47일을 그린 작품으로 2007년 4월 출간 이후 10여년간 59만부를 찍었다. ‘아트 에디션’에는 한국화가 문봉선의 그림 27점과 김훈이 100쇄 발행을 맞아 지난 10년을 돌아보며 쓴 ‘못다 한 말’이 수록됐다.
김훈은 7일 서울 종로구 청운문학도서관 한옥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문봉선 화백과 그림에 대해서 함께 논의한 적도, 제가 그림에 개입한 적도 없다”면서 “문 화백이 본인의 개성을 활발하게 살려내 하나의 예술 작품을 만들어냈다”고 소감을 밝혔다. 김훈과 문봉선은 서로의 작품을 매개로 교류해 온 사이다. 김훈은 백두대간을 150m 길이 한지에 담은 문 화백의 산수화 ‘강산여화’를 보고 산문 ‘강산여율’을 쓰기도 했다.

문 화백은 이날 갑작스러운 병환으로 자리에 함께하지 못했다. 대신 아트에디션 총괄 디렉팅을 맡은 손철주 미술평론가를 통해 “소설이 펼치는 역사의 무거움을 마음에 새겼다. 혹독한 겨울 가파른 산성이라는 모진 악조건 속에서 옥죄는 느낌을 표현하고자 했다”고 전했다.

작가는 원고지 120매 분량의 ‘못다 한 말’에서 소설이 한국 사회에 주는 의미를 짚고 자신의 느낌도 털어놓았다. 작가는 “소설에서 나를 가장 괴롭혔던 것은 언어와 관념의 문제인데 이것은 현대까지도 그대로 진행되고 있다”면서 “정의, 불의, 도덕과 같은 모호한 관념들은 우리 사회를 지배하면서 사회 발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라고 말했다.

‘칼의 노래’(2001), ‘현의 노래’(2004) 등 다수의 역사소설을 집필해 온 작가는 향후 작품 계획에 대해 뜻밖의 답변을 들려줬다.

“제 나이를 감안했을 때 이제 앞으로 작품 3~4개 정도 쓸 수 있을 것 같아요. 이제 역사나 시대의 하중에서 벗어난 글을 써보고 싶습니다. 예를 들면 판타지 같은 것이죠. 상상의 세계로 끝없이 이야기를 끌고 나갈 수 있는 글을 써보고 싶은데 제 소망대로 될지는 모르겠네요.”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7-06-08 2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