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도 상식의 대변혁’ 구글맵은 神의 눈인가

‘지도 상식의 대변혁’ 구글맵은 神의 눈인가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6-09 17:32
업데이트 2017-06-09 19: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터치·스크롤 한 번으로 원하는 세계 조망

구글 맵, 새로운 세계의 탄생/마쓰오카 게이스케 지음/홍성민 옮김/위즈덤하우스/232쪽/1만 4000원
이미지 확대
구글 맵과 결합한 ‘포켓몬고’, ‘인그레스’ 등의 위치 정보 기반 게임은 평소 찾아갈 일 없는 새로운 장소로 우리를 안내한다. 이는 미지의 공간을 두려워하지 않고 이동하게 해주는 구글 맵의 특성을 보여준다. 위즈덤하우스 제공
구글 맵과 결합한 ‘포켓몬고’, ‘인그레스’ 등의 위치 정보 기반 게임은 평소 찾아갈 일 없는 새로운 장소로 우리를 안내한다. 이는 미지의 공간을 두려워하지 않고 이동하게 해주는 구글 맵의 특성을 보여준다.
위즈덤하우스 제공
지도는 수천년간 인류가 ‘여기 아닌 어딘가’를 상상하게 했다. 인간의 신념과 가치관이 담긴 지도는 늘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종이 위에 그려진 지도를 ‘펼치는’ 행위에는 지식을 ‘넓히는’ 의미가 있었다.

바다 위에 떠 있는 거대한 육지, 그 한가운데 메소포타미아를 그린 고대 바빌로니아인의 지도는 자신들이 세계의 중심이라 믿었던 그들의 자부심을 보여준다. 성경 속 동물과 민족들을 그리고 그 바깥에 예수를 세워둔 중세 기독교인의 지도에는 세계를 지휘하는 주인이 신이라는 믿음이 들어 있다.
이미지 확대
이런 지도의 상식에 혁명을 가져온 주인공이 있다. 2008년 등장한 구글 맵이다. 구글 맵은 터치 한 번, 스크롤 한 번으로 내가 서 있는 ‘지금·여기’를 파헤치는 ‘벌레의 눈’을 갖게 했다가도 단숨에 세계를 조망하는 ‘신의 눈’을 갖게 하는 획기적인 발명품이다.

매일 전 세계에서 30억건의 정보 검색이 이뤄지는 구글에서 3분의1은 특정 장소에 관한 검색이다. 이제 구글 맵 없이는 어디 갈 엄두도 내지 못한다. 어떤 유능한 인간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여기’에서 ‘그곳’까지 가는 최단 경로를 안내하기 때문이다. 특히 스마트폰 안에 들어온 구글 맵은 ‘나’와 함께 움직이며 개인에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구글 맵을 쓰면 세계 곳곳을 자유자재로 조망할 수 있는 ‘신의 눈’을 가진 것 같지만, 사실은 컴퓨터가 찾아주는 정보를 국소적으로 받아들이는 ‘벌레의 눈’만 갖게 되는 게 현실인 것은 이 때문이다.

저자는 이런 지도의 개인화는 필연적으로 세계로 시선을 ‘줌 아웃’하려는 욕망을 쇠퇴시키고 ‘지금·여기’로의 ‘줌 인’하는 인력을 더 강화한다고 주장한다. 과거의 지도가 세계나 사회를 전체적으로 바라보고 미지의 장소를 그려보고 정보를 선별하는 주체적인 ‘탐색’의 대상이었다면, 현재 구글 맵은 수동적인 ‘검색’의 대상으로만 쓰이는 게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구글 맵에 접속하는 이들의 목적은 대개 목적지로 가는 길을 찾는 것이다. 저자는 “이렇게 해서 사용자는 지도를 면으로 ‘조망’하는 것이 아니라 점(현재 위치)과 점(목적지)을 잇는 선(경로)을 ‘좇는 존재’가 된다”면서 “구글 맵이 우리의 세계를 넓히기보다 지금·여기로 세계를 가두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어떤 노력도 들이지 않고 즉물적인 욕구만 충족하는 이런 지도의 쓰임을 ‘일본의 오타쿠 문화’에 비유하는 학자들도 있다.

‘조망하는 지도’가 ‘길을 안내하는 지도’, ‘이야기가 사라진 지도’가 된 셈이다. 이런 변화는 개성이 사라지고 교통·쇼핑의 편리함만 추구하게 된 도시의 변화와도 궤를 같이한다. 모르는 곳을 가도 적극적으로 탐험하려는 호기심이나 의지를 발휘하기보다 ‘구글 맵이 알려주겠지’란 안도감에 젖기 쉽다.

하지만 저자는 이런 변화를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다. 이 자체가 우리의 ‘새로운 리얼리티’이자 오늘날 도시와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란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글 맵을 통해 우리는 스크롤 한 번으로 공중에서 세계를 부감하다 인간의 눈높이로 현실에 ‘다이빙’하는 감각을 느끼고, 반대로 ‘점프’하는 감각을 느끼며 세계를 자유롭게 누빌 수 있게 됐다. ‘지금·여기’에서 뛰어올라 다른 세계를 만나는 건 결국 사용자의 몫이라는 결론이 다소 허무하지만 솔깃하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6-10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