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국궁은 숟가락질 같은 전통 몸 문화… 배우는 일 특별하게 여기지 않아야”

“국궁은 숟가락질 같은 전통 몸 문화… 배우는 일 특별하게 여기지 않아야”

입력 2017-06-16 22:48
업데이트 2017-06-17 0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형국 전통무예연구소장

“숟가락이나 젓가락도 우리의 전통 ‘몸’ 문화죠. 국궁과 같은 전통무예를 배우는 것도 특별한 일로 여기지 않아야죠.”
최형국 전통무예연구소장
최형국 전통무예연구소장
최형국(42) 전통무예연구소장에게 전통무예는 삶 그 자체다. 16일 수원시립공연단 무예24기 상설시범 상임연출로 활동하는 최 소장을 경기 수원 화성행궁 앞에서 만났다.

●젊은층 위한 콘텐츠·유인책 없어 저변 확대 난망

무예24기란 조선 정조 때 완간된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근접 공격용 스물네 가지 기예를 말한다. 단원 20명은 시민들 앞에서 쌍검, 장창, 낭선, 등패, 곤방 등을 들고 무예를 펼친다. 24기에 포함되지 않지만 조선시대 주력 병기인 활쏘기 시범도 보여준다.

최 소장은 “젊은 사람들을 위해 새로운 콘텐츠도 만들고 계속 즐길 수 있는 유인책을 마련해야 하는데 흥미를 주지 못하면서 고령화만 심해진다”며 “지금 모든 활터와 국궁 대회에서 거리를 145m로만 규정했다. 긴 거리나 짧은 거리를 쏘거나, 클레이 사격처럼 움직이는 경기를 만들면 더 재미있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 정책도 꼬집었다. “이전 정부에서 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을 강제로 합쳐버렸어요. 스포츠가 엘리트체육보단 생활체육 위주로 되는 게 바람직하긴 하죠. 문제는 현실적 여건을 무시하고 1:1로 합쳐놓으니 엘리트체육이 우세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죠.”
●생활·엘리트 체육 강제로 합쳐 국궁 자생력 깨져

그는 국궁을 대표적인 피해자로 손꼽았다. “원래 생활체육국궁협회는 상대적으로 젊은 생각을 가지고 다양한 활쏘기를 시도했는데, 대한궁도협회와 합쳐지면서 자발적 동력이 모두 깨져버렸어요. 전통무예진흥법이 있지만 유명무실해요.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최 소장은 국내에서 유일한 무예사 박사다. 무예사 관련 책만 7권을 냈다. ‘조선무사’에서는 조선시대 병졸의 생활상에 천착했고 ‘조선의 무인은 어떻게 싸웠을까?’에선 드라마와 영화 등에서 왜곡된 모습으로 표현하는 전통무예의 실상을 알리는 데 애썼다.

그는 “지금은 병서에 관해 쓰고 있다. 저술 당시의 사회적 상황을 담아낼 생각”이라고 말했다.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17-06-17 15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