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양진건의 유배의 뒤안길] 어리석고 또 어리석은 사람

[양진건의 유배의 뒤안길] 어리석고 또 어리석은 사람

입력 2017-06-27 17:58
업데이트 2017-06-28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양진건 제주대 교수
양진건 제주대 교수
본인이 치매를 인지하기 쉽지 않은데 홀로 지내시던 친구 어머니는 최근 요양원 입원을 자청하셨다. 친구는 처음엔 거부했지만 그 상황을 받아들이고 전날 온 가족이 모여 식사를 했다고 한다. 친구는 이를 ‘최후의 만찬’이라 표현했다. 예수는 수난 전날 밤 제자들과 최후의 만찬을 했다. 여기서 베드로는 예수를 세 번 부인하게 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면서 친구는 이제 어머니를 서른 번은 부인하게 될 것 같다고 자책했다. 그러나 어디 친구만 그러겠는가.

오스트리아의 A 가이거가 쓴 ‘유배 중인 나의 왕’은 기억을 잃어 가는 아버지를 기억하는 책이다. 치매를 유배라고 표현한 것이 눈에 띈다. 아버지는 집에 있으면서도 집에 가고 싶다고 호소하는 등 이해 못할 행동을 한다. 지난 삶의 기억은 물론 일상생활 능력마저 서서히 잃어 가는 아버지를 위해 가족들이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 이 기록은 우리에게 ‘가족은 무엇이고 삶의 의미는 어디에 있으며 삶을 진정 가치 있게 만드는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를 묻는다.

치매는 어리석을 치(癡)와 어리석을 매(呆)를 쓴다. 그러나 특정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에게 ‘어리석고 또 어리석은 사람’이라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런 현상은 병의 증세일 뿐 병명이 아니기 때문이다. 1776년 83세로 승하한 영조는 조선의 임금 중 최장수였다. 그의 승하 원인은 매병(呆病) 즉 치매였다. 사도세자를 죽게 만든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말도 있다. 51년을 호령하던 임금이었지만 말년은 어리석고 어리석은 사람이었을 뿐이다.

이렇듯 치매는 수명이나 신분, 업적과 상관없이 도둑처럼 찾아온다. 그래서 평화로운 일상은 고마움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불안이기도 하다. MBC 드라마 ‘구암 허준’에서 허준이 유배지에서 ‘동의보감’을 완성하자 광해군은 그를 사면해 주고 어의 복귀를 명령하지만, 허준은 스승의 유지를 받들겠다며 낙향을 한다. 집으로 돌아온 허준은 어머니의 전광(癲狂) 즉 치매 사실을 알고 충격을 받는다. 허준은 순진무구한 얼굴로 곶감을 먹고 있는 노모를 마주하자 이를 빼앗으려는 줄 알고 경계하는 어머니를 보며 오열을 한다.

이런 상황이 되면 우리가 택하는 곳이 요양원이다. 아직은 요양원 입원이 절해고도로 유배를 가는 것처럼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44년을 살아온 부부에게 뜻하지 않은 불행이 찾아온다. 아내가 치매에 걸린 것이다. 아내는 자진해서 요양원에 입원하고 남편은 어쩔 수 없이 그 결정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기억을 잃은 아내가 요양원에서 다른 남자와 사랑에 빠지게 되고, 아무리 애써도 아내의 기억을 돌이킬 수 없음을 깨닫게 된 남편이 할 수 없이 아내를 보내 주는 영화 ‘어웨이 프롬 허’(Away from Her)처럼 요양원에서 사랑이라도 할 수 있으면 다행이다. 정조 때 유배인 조정철과 제주 여인 홍윤애가 절절한 사랑도 했었으니 현대판 유배지에서의 사랑이 반드시 불가능한 것만은 아닐지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바람일 뿐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문재인 정부가 ‘치매 국가책임제’를 서두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국가 차원의 치매 종합 대책이 곧 가시화된다니 치매로 고통받는 개인이나 가족은 물론 국민 모두에게 소중한 정책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다른 어느 정책보다도 성공하길 기대해 본다. 치매 환자 수가 2024년에 100만명, 2050년에는 300만명이나 예상되는 마당에 평소 우리도 그들 중의 하나임을 명심하며 슬픔을 긍정하는 힘도 길러야 할 듯하다. 그게 유배인의 자세다.
2017-06-28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