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6인 6색’ 한국화 새 가능성 엿보다

‘6인 6색’ 한국화 새 가능성 엿보다

함혜리 기자
입력 2017-07-18 23:34
업데이트 2017-07-19 01: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화, 바탕을 버리다’展

모두 ‘한국화의 위기’를 걱정하지만 정작 속 시원한 해결책을 내놓는 이는 드물다. 용산구 유엔빌리지 초입에 위치한 필갤러리에서는 ‘한국화, 바탕을 버리다’라는 제목으로 한국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전시를 열고 있다. 자신만의 감각으로 현대 한국화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나름의 성과를 보여주는 김선두, 이인, 이주연, 이주원, 임만혁, 장현주 작가가 참여했다.
‘한국화, 바탕을 버리다’전이 열리는 필 갤러리 전시장. 감각적이고 실험적인 한국화를 시도하는 이주원 작가의 작품 ‘길에서 조우하다’.
‘한국화, 바탕을 버리다’전이 열리는 필 갤러리 전시장. 감각적이고 실험적인 한국화를 시도하는 이주원 작가의 작품 ‘길에서 조우하다’.
김선두 작가는 장지 기법 안에서 수묵화와 유화기법의 접목을 시도한다. 그는 ‘별을 보여드립니다’에서 변두리 삶의 어수선한 꿈을 그리고 있다. 작가 이인은 현대적 감각의 장지 벽화를 선보인다. 장지 위에 농묵과 목탄, 흰 빛깔의 돌가루를 섞어 인간의 본질과 삶의 근원에 대한 묵직한 질문을 던지는 작업이다. 장현주 작가는 장지 위에 수많은 풀꽃을 사실적으로 그린 다음 이를 호분으로 지우고 다시 목탄과 먹으로 살리는 반복적인 작업으로 독특한 스타일의 서정적 풀꽃 산수를 완성한다. 드로잉과 회화, 화훼와 산수, 구상과 추상의 경계에서 담담한 삶의 멋과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작품들이다.

이주연은 장지를 오려 입체적 구조물을 만든 다음 여러 겹의 먹과 채색을 중첩해 실험과 깊이를 동시에 추구한다. 임만혁은 목탄 장지 기법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가다. 장지 위에 거친 목탄 선으로 형상을 그리고 아교 칠을 한 다음 원색을 덧칠해 삶의 애환과 사랑, 상처와 아픔을 변형된 인물과 풍경으로 보여준다. 이주원은 감각적이면서도 실험적인 한국화를 선보인다. 폴리카보네이트 판에 장지를 배접한 뒤 단순화된 이미지를 그리고 뒤에 색이 차례로 바뀌는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설치한 작품들이다. 그의 작업은 길이라는 일상의 공간에서 조우한 시간의 흐름과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다.

필갤러리 최윤정 대표는 “기존 한국화의 재료 및 기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조형언어로 현대 한국화의 나아갈 길을 모색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전시는 8월 26일까지. (02)795-0046.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7-07-19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