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뉴스 전에 책이 있었다] 인권운동가 류샤오보, 中과 세계를 향한 외침

[뉴스 전에 책이 있었다] 인권운동가 류샤오보, 中과 세계를 향한 외침

입력 2017-07-21 22:48
업데이트 2017-07-22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류샤오보 중국을 말하다’

중국의 인권운동가로 2010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류샤오보가 지난 13일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중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인 1989년 톈안먼 사태 이후 반체제 인사로 지목되면서 류샤오보는 여러 차례 수감을 거듭했고, 노벨평화상 수상식장에서도 초상화로만 참여해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류샤오보의 사망은 간암이 직접적인 원인이었지만, 중국은 아내와의 면회도 불허하면서 “사실상 타살”이라는 국제적 비난을 받았다. 류샤오보의 위대함은, 대개의 반체제 지식인들이 톈안먼 사태를 기화로 중국을 떠난 데 반해 오히려 중국으로 돌아와 각종 문필활동을 통해 민주화 운동에 전념했다는 사실이다. 그 치열한 기록을 담아낸 책이 노벨평화상 수상 직후인 2011년 1월 출간된 ‘류샤오보 중국을 말하다’이다.
이미지 확대
책에는 1990년 후반부터 2008년 중국 공산당의 독재 종식과 민주화 요구를 내건 ‘08헌장’(零八憲章) 작성을 주도하기까지 인터넷과 잡지에 기고한 글들이 고스란히 담겼다. 비판의 수위가 꽤 높다. 1장 ‘중국의 정치를 말하다’에서 류샤오보는 마오쩌둥부터 후진타오 시대까지, 공산당 독재가 얼마나 큰 모순과 심각성을 내포하는지 가감 없이 지적한다. “기득권 유지에만 집착하는 독재 권력에 어찌 인민을 위한 정치를 기대할 수 있단 말인가. 중국 공산당은 정권을 잡은 후 지금까지 중국 인민의 삶과 생명을 담보로 권력을 남용하고 있다”는 일갈은 중국 당국으로 하여금 류샤오보를 인민과 떼어 놓은 빌미가 되기에 충분했다.
이미지 확대
장동석 출판평론가
장동석 출판평론가
류샤오보는 책 서두에 “공산당의 이데올로기 주입으로 역사가 단절”되었다면서 “풍족한 물질생활에 도취된 중국 젊은이들은 정부가 떠들어대는 선전에 눈이 멀고 귀가 먹어가는 것도 모른 채 중국 공산당이 역사상 전례 없는 발전을 이뤄냈다고 믿는다”고 강조한다. 벼락부자와 인기스타들이 우상이 되어버린 현실은 결국에는 “중국인들의 패배주의적 사고방식과 냉소주의식 사회 분위기”를 강화한다고 류샤오보는 지적한다. 중국 사회를 향한 절절한 일갈이지만, 이는 신자유주의적 삶이 보편적인 현상으로 굳어진 전 세계를 향한 외침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사회와 문화를 말하다’라는 제목의 2장도 눈여겨볼 만하다. 다양한 문화적 전통이 여전히 살아 숨 쉬는 듯 보이지만 오늘의 중국 문화는 “권력의 시녀로 전락”했다는 게 류샤오보의 생각이다. 그는 중국 학문과 문화의 근간인 공자와 그의 사상이 정치적으로 이용당하고 있다면서도 “태평할 때 세상에 나오고 난세에는 숨는 ‘처세의 대가’이고 전형적인 기회주의자”라는 말로 공자와 그것을 이용하는 정치 이데올로기를 극복해야만 새로운 중국의 미래가 열린다고 강조한다. “국가주의를 위장한 극단적인 민족주의에 편승하려고만 하는 얄팍한 술수”를 걷어내고 “자유사상과 미학적 저항”을 통해 전환기 중국을 이끌어야 한다는 통찰인 셈이다.

책에는 날카로운 비평만 담긴 것이 아니다. “사랑하는 이여, 나는 당신의 영원한 죄수입니다”라는 아내를 향한 절절한 사랑 고백은 물론 섬세한 감성을 드러낸 시도 여럿 선보인다. 중요한 것은 권력을 향한 강력한 비판과 인민의 삶의 양식 변화에 항상 귀를 기울여 온 류샤오보의 통찰을 만날 수 있어 유용하다는 점이다. 류샤오보 없는 중국 권력은 여전히 브레이크 없는 질주를 거듭할 것이다. 경제적 측면만 부각된 숱한 중국 관련 서적들도 유용할 테지만, 이념으로 점철된 중국의 이면이 궁금하다면 ‘류샤오보 중국을 말하다’도 많은 시사점을 줄 것이다. 류샤오보 역시 비판을 받을 대목이 없진 않지만, 한 사람이 때론 태산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한다.

장동석 출판평론가

2017-07-22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