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식민 지배 속에서도 빛난 ‘한글 전래동화’

식민 지배 속에서도 빛난 ‘한글 전래동화’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8-08 22:32
업데이트 2017-08-09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래동화 100년展’ 희귀본 첫 공개…소장자 수개월 설득 빛 본 판본 많아

지게 가득 나뭇짐을 지고도 온달은 사람 좋은 웃음을 얼굴 가득 머금은 채다. 평강공주는 그 뒤에서 흐뭇한 눈길로 온달을 바라본다. 테두리며 이음매가 나달나달 떨어져 나갔지만, 표정과 풍경이 세심하게 살아 있는 삽화와 순한글체로 쓰여진 이야기는 오롯이 남아 있다. 1913년 최남선이 펴낸 어린이잡지 ‘붉은 저고리’에 실린 최초의 한국 전래 동화 ‘바보 온달이’다.
이미지 확대
1913년 최남선이 펴낸 어린이 잡지 ‘붉은저고리’에 실린 국내 최초의 전래 동화 ‘바보 온달이’.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1913년 최남선이 펴낸 어린이 잡지 ‘붉은저고리’에 실린 국내 최초의 전래 동화 ‘바보 온달이’.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식민 지배를 위해 어린이들의 혼까지 뿌리 뽑으려 했던 일본 총독부의 명령으로 발간 6개월 만에 폐간된 비운의 잡지 ‘붉은 저고리’ 등 한글 전래 동화 100년사의 초창기 희귀본들이 8일 처음 공개됐다. 내년 2월 18일까지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열리는 기획특별전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한글 전래 동화 100년’에서다.

김철민 국립한글박물관장은 “종교가 신화를 낳고 역사가 전통을 낳는다면 환상과 상상력이 동화를 낳는다는 말이 있다”며 “한 민족의 뿌리가 되는 가치, 문화의 원형이 담겨 있는 한글 전래 동화 100년의 모든 것을 한자리에 모았다”고 소개했다. 한글로 쓰인 전래 동화책, 민담집, 음원, 시나리오, 영상 등 188건 207점의 자료는 우리 옛이야기가 세대를 이어 전해 준 꿈과 가치, 삶의 지혜를 되새기게 한다.
이미지 확대
국내 첫 한글 전래 동화집인 심의린의 조선동화대집(1926).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국내 첫 한글 전래 동화집인 심의린의 조선동화대집(1926).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이번 전시의 3분의2가량은 모두 일본이나 국내의 개인, 박물관 등의 외부 소장품으로 전시 담당자들이 소장자를 수개월간 설득해 나오게 된 미공개 판본들이다. 특히 최초의 한글 전래 동화집인 심의린의 ‘조선동화대집’ 초판본(1926), 최남선이 서문을 쓰고 한충이 엮은 ‘조선동화 우리동무’(1927), 민속학자 송석하가 서문을 쓰고 박영만이 묶은 ‘조선전래동화집’(1940) 등 3대 한글 전래 동화집이 함께 전시돼 눈길을 끈다. 이 3대 동화집의 동화 171편의 원문은 모두 디지털 자료로 옮겨져 제한 없이 감상할 수 있다.

김미미 학예연구사는 “일본 총독부가 모은 ‘조선동화집’(1924)이 최초의 전래 동화집으로 여겨지나 이는 우리 동화를 일본인에게 소개하기 위해 일어로 쓰여진 데다, 일본의 도덕적 가치에 무게를 둬 소개해 교훈적인 이야기들이 주류를 이룬다”며 “반면 국내 3대 전래 동화집은 우리 민족 특유의 해학과 풍자가 빛나는 이야기들로 엮여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최남선이 옛이야기를 모집하는 광고를 최초로 게재한 어린이 잡지 ‘아이들 보이’(1913) 2호 표지.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최남선이 옛이야기를 모집하는 광고를 최초로 게재한 어린이 잡지 ‘아이들 보이’(1913) 2호 표지.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붉은 저고리’와 같은 해인 1913년 최남선이 창간한 ‘아이들 보이’(아이들이 볼 것이라는 뜻) 2호에서는 최남선이 상금 20~50전을 내걸고 처음 전래 동화를 공모한 광고가 실려 있다. 선인들의 철학이 담긴 옛이야기를 지키려던 최남선의 고군분투가 엿보이는 흔적이다.

1934년 배우 김복진이 녹음한 동화 구연 음원, 1967년 강태웅 감독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흥부와 놀부’ 등 다양한 자료로 동화의 글맛과 매력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코너(2부)도 마련돼 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8-09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