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런웨이 조선] 조선 곤룡포는 적색? 청색·황색도 있다

[런웨이 조선] 조선 곤룡포는 적색? 청색·황색도 있다

입력 2017-08-14 22:44
업데이트 2017-08-14 2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 정치적 메시지 담은 왕의 옷

문재인 대통령이 재킷을 벗은 채 커피를 들고 참모진과 함께 산책을 하는 모습이 화제가 되었다. 지금까지 우리가 보아 왔던 대통령의 모습과는 달랐기에 신선한 충격이었다. 격의 없는 편안한 모습에서 국민과 소통하고자 한다는 의지가 자연스럽게 투영되었다. 그러나 단지 편안함만을 드러내지는 않았다. 와이셔츠의 소매를 걷어붙여 의욕적으로 일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고, 사선 무늬 넥타이로 강인함은 물론 젊음과 역동성을 나타냈다. 복식을 통해 이미지 메이킹에 성공한 사례다.
이미지 확대
태조어진, 국보 제317호, 어진박물관. 청곤룡포를 입고 있는 태조의 모습이다. 오조원룡보에 드러난 용의 모습에 새 시대를 여는 국왕의 힘찬 의지가 투영돼 있다.
태조어진, 국보 제317호, 어진박물관. 청곤룡포를 입고 있는 태조의 모습이다. 오조원룡보에 드러난 용의 모습에 새 시대를 여는 국왕의 힘찬 의지가 투영돼 있다.
조선시대에는 더욱 그랬다. 왕이 평상시 집무복인 곤룡포를 입고 있는 어진이 3점이 남아 있다. 태조, 영조, 고종의 어진이다. 똑같은 곤룡포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코 같은 옷이 아니다. 그것은 각 시대가 요구하는 국왕의 모습이 다르고 그것을 실천하고자 하는 국왕의 의지가 다르기 때문이다. 곤룡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왕을 상징하는 용의 모습이다. 발톱이 5개인 용을 둥근 원 안에 담아 일명 ‘오조원룡보’(五爪圓龍補)라고 하는 이것을 앞가슴, 등 뒤, 양어깨 4곳에 부착한다. 시대에 따라 직조를 하기도 하고 이금(泥金·금가루)으로 그리기도 하며 별도의 직물에 수를 놓아 붙이기도 한다. 이는 시대에 따라 변화된 양식의 차이일 뿐 중요한 것은 용의 모습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영조어진, 보물 제932호, 국립고궁박물관. 정면을 응시하고 좌우 손과 발이 대칭을 이루는 균형 잡힌 용의 모습을 통해 ‘조선의 르네상스’를 만들고자 했던 영조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영조어진, 보물 제932호, 국립고궁박물관. 정면을 응시하고 좌우 손과 발이 대칭을 이루는 균형 잡힌 용의 모습을 통해 ‘조선의 르네상스’를 만들고자 했던 영조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고종황제어진, 국립중앙박물관. 해와 달을 상징하는 붉은색과 흰색의 여의주를 통해 하늘의 섭리를 얻은 황제의 모습을 드러내고자 했다. 번영과 도약에 대한 강한 의지가 용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고종황제어진, 국립중앙박물관. 해와 달을 상징하는 붉은색과 흰색의 여의주를 통해 하늘의 섭리를 얻은 황제의 모습을 드러내고자 했다. 번영과 도약에 대한 강한 의지가 용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는 청색의 곤룡포를 입고 있다. 그러나 임금의 복색은 홍색, 그중에서도 가장 밝다는 대홍색이어야 한다. 그럼에도 태조는 왜 청색을 입었을까.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청색이 길색(吉色)이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지만, 아직 중국으로부터 홍색의 곤룡포와 함께 고명(誥命)을 받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둘 다 타당성이 있는 이야기다. 하지만 단순히 길색이기 때문에 입었다고 하기보다는 태조가 스스로 길색인 청색의 곤룡포를 만들어 입었다는 것에 더 비중을 두고 싶다. 누가 준 것을 받은 것도 아니고, 정해진 색을 입은 것도 아니다. 그의 자주성과 독립성이 복식을 통해 완성됐다고 보고 싶다.
태조의 오조원룡보.
태조의 오조원룡보.
영조의 오조원룡보.
영조의 오조원룡보.
태조가 입은 청곤룡포에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은 단연 용의 모습이다. 오조원룡보는 앞가슴과 양어깨에 붙은 보(補)가 서로 맞닿을 정도로 크다. 그리고 정중앙에 있는 용은 S자로 휘어져 있으며, 입에서는 상서로운 기운이 뿜어져 나오고 있다. 용은 얼굴을 오른쪽으로 돌리고 있으며, 손과 발의 발톱에는 힘이 잔뜩 들어가 있다. 온몸에 서려 있는 기운에서 하늘로 올라가고자 힘차게 밀어붙이는 비룡(飛龍)의 모습이 보인다. 나라를 힘겹게 건국하고 무슨 일을 어떻게 할 것인지 고민도 많았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하고 싶은 일도 많고 할 수 있는 일도 많았을 테니 새로운 멋진 나라를 만들기 위한 그의 의지를 용에 담고 싶었으리라. 힘차게 날아오르려는 용. 그것이 바로 태조의 마음이 아니었을까.
이미지 확대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영조의 홍곤룡포는 어땠을까. 오조원룡보의 크기에는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용의 모습은 완전히 다르다. 홍곤룡포에 담긴 용은 양팔과 양다리를 좌우로 벌리고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어디에도 흔들리지 않을 것 같은 균형 잡힌 용이다. 그리고 구름이 그 용을 삥 돌아가며 감싸고 있다. 마치 하늘로 올라간 용이 구름을 관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농경사회에서 적절한 때 흡족한 비를 내릴 수 있는 능력, 그것은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안정되어 백성들의 삶을 편안하게 해 주고 싶었던 영조의 마음이었을 것이다.

조선의 마지막 왕이면서 최초의 황제였던 고종은 복색 자체를 중앙을 의미하는 황색으로 바꾸었다. 오조원룡보의 크기도 전대(前代)의 왕들에 비해 현저히 작아졌다. 그리고 몸판 자체에 용의 모습을 그리거나 직조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천에 수를 놓는 형태로 바뀌었다. 황제를 상징하는 달라진 용의 모습을 보여 주어야 했다. 황제에 올랐음을 만천하에 알리는 것이 중요했을 것이고, 자신이 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드러내는 것이 더 필요했을 것이다. 보의 중심에서 조금 내려온 배꼽 위치에 해와 달을 상징하는 붉은색과 흰색의 여의주를 넣어 신령한 하늘의 섭리를 얻었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여기에 용의 얼굴은 정면을 응시하고 좌우의 손발은 대칭을 이루며 안정된 모습이지만 몸통은 아래로 곡선을 이루면서 꼬리가 활기차게 따라 올라가는 모습이다. 도약을 꿈꾸는 고종의 마음이었을 것이다. 새로운 시대를 여는 태조와 고종은 힘찬 용을 통해 역동성과 강인함을 보여 주고 싶었을 것이고, 영조는 번영기에 들어섰으므로 ‘조선의 르네상스’를 만들고 싶었을 것이다. 용의 모습에서 국왕의 고뇌와 함께 꿈이 읽힌다.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2017-08-15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