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자치광장] 새활용은 유행이 아닌 삶의 방식이다/이근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

[자치광장] 새활용은 유행이 아닌 삶의 방식이다/이근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

입력 2017-08-24 17:24
업데이트 2017-08-24 17: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 ‘새활용’이라는 단어가 언론에 자주 오르내린다. 새활용은 업사이클링(Upcycling)의 우리말로, 버려지는 물건을 다시 쓰는 재활용을 넘어, 버려지는 물건에 생명을 입혀 새롭게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트럭 덮개로 쓰이던 천이 고가의 가방으로 변신하고, 고장 난 이어폰이 장신구가 되는 게 대표적인 사례다.
이미지 확대
이근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
이근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
새활용을 재활용과 구분 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디자인’이다. 버려진 물건에 디자인적 사고와 감각이 더해져 새 생명이 탄생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멀쩡한 물건에 색을 덧칠하고, 물건을 분해해 다른 모양으로 만든 것을 ‘새활용 했다’고 하는 경우가 있어 새활용에 대한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

첫째, 새활용의 소재는 수명을 다해 더이상 사용이 불가능한 물건이어야 한다. 잘 쓰던 제품을 싫증 난다고 디자인을 바꾸는 건 새활용이 아니라 ‘새단장’이다.

둘째, 새활용의 범위는 패션 소품 이상이어야 한다. 국내에 널리 알려진 업사이클링 제품이 트럭 천으로 만든 가방(스위스 브랜드 ‘프라이탁’)이고, 개인 디자이너 위주로 업사이클링 제품의 생산과 판매가 이뤄지다 보니 ‘업사이클링=패션’이라는 오해가 생길 수 있다.

그런 면에서 철거 위기에 놓인 고가도로를 공원으로 바꾼 ‘서울로7017’은 대표적 새활용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무조건 부수고 새로 짓는 게 아니라, 수명이 다한 건축물에 디자인적 사고와 감각을 입혀 새로운 가치를 부여했기 때문이다.

서울시 도시 정책의 중요한 키워드도 새활용이다. 다음달 2일 개막하는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현대 도시가 갖고 있는 문제를 짚어보고 미래 도시가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하는 행사다. 비엔날레의 주요 전시장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돈의문박물관마을, 세운상가, 창신동 등 도시재생 현장들이다. 과거의 도시가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면, 현재의 도시는 재생을 강조한다. 끊임없이 자원을 소비해 쓰레기를 만들어내는 대신, 한정된 자원을 새활용해 순환하는 도시를 만들겠다는 뜻이다.

셋째, 새활용은 활용보다 정신과 철학이 동반된 교육이 더 강조돼야 한다. 새활용은 기존에 없던 개념도 아니고 스쳐 지나가는 유행도 아니다. 지구에서 살아가기 위해 우리가 지켜야 할 삶의 방식이다.

물건을 만드는 사람들은 기획 단계에서부터 쓰임이 다한 후를 고려해 물건을 디자인하고 생산해야 한다. 물건을 쓰는 사람들은 물건을 고쳐 쓰고 가치 있게 사용하는 소비 문화에 익숙해져야 한다.
2017-08-25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