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뗑깡/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뗑깡/이경우 어문팀장

입력 2017-09-20 23:02
업데이트 2017-09-21 0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어문팀장
‘뗑깡’은 괜한 고집이고 투정이다. ‘행패’와도 통한다. 순우리말로 오해하기도 하는데 일본어에서 왔다. 이런 이유로 국립국어원이 2005년에 내놓은 ‘일본어 투 순화 용어 자료집’에서는 ‘생떼’로 바꿔 쓸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바람과 달리 ‘뗑깡’은 여전히 도처에서 사용된다. ‘생떼’와 다르기 때문이다. ‘뗑깡’은 ‘생떼’와 달리 ‘속되다’라는 성질을 지녔다. 두 단어가 쓰이는 상황과 공간이 다른 것이다. 구별해 쓰지 않으면 곤란해진다. 특히 공적인 공간에서 ‘뗑깡’은 말 자체로 거부감을 줄 우려가 있다.

‘뗑깡’은 ‘전간’(癲癎)의 일본어 발음 ‘덴칸’(てんかん)에서 왔다. ‘전간’은 흔히 ‘간질’이라고 불렀는데, 의학 용어로는 ‘뇌전증’이다. 경련을 일으키고 의식 장애를 일으키는 발작 증상이 되풀이해 나타난다. 그래서 속되게 ‘지랄병’이라고도 했다. 어린아이가 심하게 투정 부리는 모습을 여기에 빗대어 ‘뗑깡’이라고 하기 시작했다. “옆집 아이는 여섯 살인데, 어찌나 뗑깡을 부리는지 밉상이다.” 누가 억지를 쓰거나 행패를 부리는 행동도 ‘뗑깡’이 됐다.

‘뗑깡’은 ‘투정’이나 ‘억지’, ‘행패’ 같은 말들과 통하지만, 여기에 ‘속됨’과 듣기에 따라서는 유치함도 덧붙여진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국민의당을 향해 ‘뗑깡’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가 고개를 숙였다. 정치인의 말은 어느 자리에서 하든 공적이다.
2017-09-21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