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공포, ‘전쟁 국면’의 시작일 수 있다/이지운 국제부장

[데스크 시각] 공포, ‘전쟁 국면’의 시작일 수 있다/이지운 국제부장

이지운 기자
입력 2017-10-30 17:32
업데이트 2017-10-31 0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덩샤오핑이 1978년 개혁개방을 앞두고 크게 걱정한 것은 (전면적인) 전쟁이었다. 건국 직후 겪은 6?25 전쟁의 후유증도 컸지만 뒤이은 중·소 분쟁에 따른 부담감도 상당했던 때였다. 일정 규모 이상의 전쟁을 치를 국력이 못 된다는 점도 분명히 알고 있었다. 한 번도 가 보지 않은 길로 국가의 모든 역량을 몰아가려는 때 전쟁이라는 재앙만큼은 피해야 했다. 그는 고민 끝에 위대한 결론을 얻어 냈다. “전쟁은 막을 수는 없지만 늦출 수는 있다”는 어록은 그때 나온 것이다. 1979년 1월 미국과의 수교는 그 전쟁을 미루기 위한 대표적인 방책이었다. 지금 중국의 번영은 전쟁을 ‘미뤄 온’ 대가라 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이지운 논설위원
이지운 논설위원
북핵 관련 전망이 중구난방이다. 그래도 전문가들의 말들 속에는 일치를 이뤄 가는 부분들이 있다. ‘김정은은 절대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란 게 대표적이다. 핵에 대한 김정은의 의지만큼은 국제적으로 공인받은 셈이다. 그렇다 보니 ‘북·미 간 의견 차는 줄이기엔 너무 많이 왔다’는 진단에 상당한 공감대가 형성됐다. 미국을 중심으로 북·미 협상에 대해 낙관론이 줄고 있는 것은 ‘핵의 가격차’를 실감하고 있어서다. 김정은이 바라는 ‘제값’을 트럼프가 쳐줄 리 없고, 트럼프의 호가(呼價)는 김정은이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겠다 싶은 생각에서다.

‘시간이 없다’는 표현이 잦아지는 것은 이 모든 상황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김정일이 핵을 관상(觀賞)용, 곧 자위(自衛)를 위해 만든 것이 아니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자위용이라면 미국에게 북핵은 ‘현상 유지’만으로도 족할 수 있다. 절대 주변국을 겁박하거나 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북한으로서도 미국의 제재를 그냥 견디면 된다. 어차피 갖게 될 핵이다.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서 김정은의 속내는 ‘값을 쳐주지 않으면 대가를 치를 것’으로 이해돼 가는 중이다. 김정은은 이제서야 세상이 자신의 뜻을 깨닫기 시작했다고 생각할지 모르겠다. 이런 점에서라면 김정은은 협상이 아니라 굴복을 원하고 있는 것이다. 귀한 물건을 쥔 물주(物主)가 ‘제발 물건을 팔아 달라’는 전주(錢主)를 대하듯 말이다.

지금 한반도를 둘러싸고 전쟁하겠다는 사람은 없다. 북의 김정은도,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도 언필칭 ‘전쟁 불사론자’일 뿐이다. 일본의 아베 신조도 이 부류인데, 최근에는 중국 시진핑도 여기에 공식 합류했다. 얼마 전 ‘시진핑2.0 시대’를 열면서 “중국이 손해를 감수하면서 쓴 열매를 삼킬 것이라는 헛된 꿈을 꾸지 말라”고 했다. 이들의 전쟁 불사론은 덩샤오핑의 어록에 입각해 선의로 해석하자면 ‘전쟁을 미루기 위한’ 것이다. 전쟁을 피하지 않는다는 엄포로, 전쟁을 피해 보겠다는 뜻쯤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도 전쟁을 걱정하는 이는 늘고 있다. 핵 값을 쳐주지 않는 트럼프 때문에 김정은이 위세를 부릴 것으로 느끼는 모양이다. ‘전쟁’이란 단어가 점점 빈번해지는 것은 달리 해법을 찾기 어렵다고 느끼고 있기 때문인지 모른다.

2500만명이 몰려 사는 수도권에서 전쟁이라니, 여러 모로 상상하기 어렵다. 다만 전쟁은 발발에 앞서 ‘전쟁 국면(局面)’이라는 것도 있다. 어디서부터가 이 국면일까. 공포의 시작, 그 어디쯤에선가일 수 있다. 그렇다면 이 국면은 피하기 어렵다고 상정하는 게 옳다. 최선을 기대하되 최악을 준비하라고 한다. 북의 추가 도발 예고는 그것대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이 국면을 어떻게 대비하고 관리할지, 정부는 본격 준비해야 한다. ‘전쟁은 안 된다. 전쟁만은 막겠다’ 이상의 것이 요구된다.

jj@seoul.co.kr
2017-10-31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