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큰아들의 생일날, 그를 죽이러 모인 가족들

해피버스데이(Happy Birthday)가 아니다. 해피뻐스데이(Happy Bus Day)가 이 영화의 제목이다. 생일을 축하하기는 한다. 하지만 큰아들(김권후) 생일에 맞춰 엄마(서갑숙) 집에 모인 이들 가족은 뭔가 다른 꿍꿍이가 있는 것 같다. 그것이 무엇인지 조금이나마 이야기하려면, 큰아들과 엄마를 제외한 나머지 가족 구성원도 소개해야겠다. 둘째 아들 기태(이재인)와 그의 부인 선영(김선영), 셋째 아들 성일(이주원)과 그의 여자 친구 정복(장선), 딸 아현(김애진), 넷째 아들 상훈(박지홍), 막내아들 승환(김성민)이다. 이처럼 등장인물이 많다 보니 내용 파악이 어려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
막상 작품을 보면 그렇지가 않다. 캐릭터 하나하나가 강렬한 존재감을 내뿜어서다. ‘해피뻐스데이’에서는 캐릭터가 곧 내용이다. 등장인물끼리 엉키고 깨지는 모습을 가만히 보라. 그럼 이 영화가 캐릭터들 간의 부산한 운동성 자체를 내용으로 바꿔 담아내려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한정된 공간(집)에서 거의 모든 서사가 진행되므로 캐릭터의 에너지는 더욱 응집해 들끓는다. 원래 이 작품이 2014년 상연된 연극에 바탕을 둬서일 수도 있다. 그때 제목은 ‘괴물’이었다. 괴물은 일차적으로 큰아들을 가리킨다. 그렇지만 실은 여기 나오는 인물들―독특한 아우라를 가진 캐릭터가 전부 괴물처럼 느껴진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이런 점에서 ‘해피뻐스데이’는 부조리극 같은 인상을 준다. 합리성을 배제한 기이한 것들의 세계가 이 영화에서는 자연스럽게 펼쳐진다. 큰아들 생일에 맞춰 엄마 집에 모인 이들 가족의 목적부터가 그렇다. 그들은 큰아들을 죽이려고 왔다. 엄마를 포함한 모두가 공모자다. 심지어 엄마의 남동생―외삼촌(김용준)의 입회 아래, 다들 큰아들 살해에 동의했다는 서명까지 받는다. 고작 이 정도를 갖고 당신이 스포일러당했다고 화내기에는 이르다. 이것을 미리 알아도 작품을 감상하는 데는 방해가 되지 않는다. 앞서 밝혔듯이, 이 영화의 진짜 내용은 가족이 큰아들을 없앤다는 충격적 설정이 아니라 각각의 캐릭터에 있다.

큰아들의 죽음은 매개다. 가족 한 명 한 명의 비밀을 드러내는 촉매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엄마가 총괄적인 살인 계획을 짜고, 기태가 독약을 사오고, 선영이 독약을 넣을 음식을 장만하고, 성일이 정복과 화장실에서 당당하게 섹스를 하고, 그러거나 말거나 아현은 휴대전화만 들여다보고, 트랜스젠더 상훈은 사랑하고 싶어 안달하고, 본드를 분 승환이 가족에게 식칼을 휘두르는 정도는 비밀 축에도 끼지 못한다. 이보다 더 큰 비밀이 한참 남았다. ‘해피뻐스데이’는 관객이 예상하는 범위를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훌쩍 뛰어넘는다. “계속해서 배우들에게 진실성에 대해 강조”했다는 이승원 감독은 괴작을 만들었다. 진실(성)이 꼭 아름다운 것은 아니다. 오는 9일 개봉. 청소년 관람 불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