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갈라파고스 핀치새에서 진화론 재확인

갈라파고스 핀치새에서 진화론 재확인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11-24 15:39
업데이트 2017-11-24 15: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여름 정부의 한 각료 후보가 ‘창조과학도 진화론처럼 과학’이라고 주장을 해 논란이 됐었다. 답은 이미 정해져 있으니 대답만 하면 된다는 은어인 ‘답정너’ 같은 창조론과는 달리 진화론은 지금도 끊임없이 과학으로 진화하고 있다.
핀치새
핀치새
미국 프린스턴대 로즈마리 그랜트와 피터 그랜트 교수 부부는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참새목의 새 ‘핀치’가 새로운 종으로 분화하는 과정을 추가로 발견해 진화론을 재확인했다는 연구결과를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 최신호에 발표했다.

그랜트 교수 부부는 1981년 갈라파고스제도의 다프네 섬에서 외래종인 선인장핀치 수컷 한 마리가 날아와 토종 핀치 암컷과 교배해 생식능력이 있는 새끼를 낳은 것을 확인했다.

그 후 4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 핀치 한 쌍의 자손들이 목격되고 그 개체는 30마리 정도로 파악됐다. 그런데 이 핀치 무리는 갈라파고스 제도의 토종 핀치들보다 크기가 크고 습성도 달라 새로운 종인 ‘빅버드’로 이름붙여져 분류됐다.

스웨덴 웁살라대 연구팀의 유전자 분석결과 빅버드 종은 기존의 핀치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종으로 밝혀졌다.

종분화 전문가인 로저 버틀린 교수는 “종의 분화는 매우 서서히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진화가 매우 빠르게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깨닫게 해줬다”고 설명했다.

더군다나 지금까지는 서로 다른 2개의 종이 교배를 할 경우 생식능력이 있는 자손을 낳는 것은 불가능했다고 여겨져 왔지만 이번 연구로 이종교배를 하더라도 생식력이 있는 새끼를 낳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