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거짓말을 해서라도 당근을 좋아하게 만들어라

거짓말을 해서라도 당근을 좋아하게 만들어라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7-12-08 17:46
업데이트 2017-12-08 18: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식습관의 인문학/비 윌슨 지음/이충호 옮김/문학동네/508쪽/2만원
이미지 확대
어린 시절 누구나 한 번쯤 들어 봤을 법한 이야기. “고기 말고 채소 위주로 많이 먹어라”, “편식하지 말고 골고루 먹어야 튼튼해진다”, “남기지 말고 먹어라”…. 끝내 말을 듣지 않으면 어김없이 날아드는 엄마의 지청구. 그래도 한번 굳어진 음식에 대한 선호도와 식습관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쓰지만 몸에 좋은 신선한 채소보다 달고 짠 자극적인 음식에 손이 절로 가는 법이다. 영국의 음식 작가이자 역사가인 비 윌슨이 쓴 ‘식습관의 인문학’은 우리가 왜 그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지, 그 선택의 배경에 대해 세세하게 알려 준다.

저자는 사람들이 건강에 좋은 음식을 먹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다른 방법으로 먹는 법을 배운 적이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식습관은 한번 정착하면 바꿀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학습 행동’이라는 의미다. 달리 말하면 평소와는 다르게 먹는 새로운 습관을 배운다면 건강에 좋은 음식도 손쉽게 먹을 수 있다는 뜻이다.

저자에 따르면 열여덟 번째 생일을 맞이할 때쯤 우리가 경험하는 음식과 관련된 학습 경험은 무려 3만 3000여 가지에 이른다. 나쁜 식습관이 정착되기 이전에 어린이에게 좋은 식습관을 가르치려면 좋은 음식에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이 방법이 실패한다면 ‘당근을 먹으면 휘파람을 부는 능력이 생긴다’는 거짓말을 해서라도 당근을 좋아하게끔 만들라고 말한다. 당근을 먹는 사람이 되려면 그전에 먼저 당근을 좋아하는 사람이 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부모의 역할이다. 음식 선호도를 습득하는 핵심 시기인 만 한 살부터 세 살까지의 유아기 아이들의 식습관은 식탁에서 직접 음식을 먹여 주는 부모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이다.

저자는 ‘한 숟가락만 더 먹으라’고 강요하며 아이가 싫어하는 음식을 입으로 욱여넣을 것이 아니라 조금씩이라도 계속해서 먹게 할 것을 강조한다. 그 음식을 먹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을 때까지. 대신 “이 채소를 먹으면 단것을 줄게”라는 식의 전략은 위험하다고 지적한다. 행동에 대한 보상을 제시할 경우 아이들은 먹는 행동을 덜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고, 결국 단것은 상으로 줄 만큼 귀한 것이라는 생각에 단것을 더 좋아하게 되는 악효과로 이어진다는 것. 그보다는 아이들이 스스로 채소를 선택하고 그 맛을 음미할 줄 어른이 되는 법을 배우도록 돕는 것이 더 현명한 방법일 것이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7-12-09 1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