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공유경제 실험/박건승 논설위원

[씨줄날줄] 공유경제 실험/박건승 논설위원

박건승 기자
입력 2018-01-03 22:40
업데이트 2018-01-03 23: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유경제 하면 역시 중국이다. 시장 규모가 무려 570조원대다. 최근 2년 새 두 배 이상으로 성장했다. 그 중심엔 ‘중국판 따릉이’가 있다. 지난해 자전거 공유자가 1억명을 웃돌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따릉이 공유경제’에도 그림자가 없는 건 아니다. 따릉이를 이용하고 돌려주지 않는 이들이 날로 늘면서 도산 업체가 줄을 잇는다. 베이징 등 대도시엔 자전거 200만여대가 흉물처럼 방치돼 있다고 한다. 그런데도 중국 관영 ‘인민망’은 ‘공유’를 2017년 상징어로 꼽았다. 상황은 좋지 않지만 중국 정부가 공유경제에 희망과 기대를 버리지 않고 있다는 증거일 것이다.
공유경제는 어울리지 않는 두 단어의 조합이다. 경제학에 ‘공유지(共有地)의 비극’이란 이론이 있다. 공유하는 자원은 비극을 가져온다는 다소 씁쓸한 얘기다. 예컨대 양 100마리를 기를 수 있는 초원이 있다 치자. 이 초원은 공유지로, 마을 사람 누구나 양을 방목해 풀을 먹일 수 있다. 이곳에서 풀을 뜯는 양이 100마리를 넘기면 초원은 황폐해질 것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이 초원이 공짜이기 때문에 너도나도 양을 방목하게 된다. 결국 초원은 풀이 다 뜯기고 마을 사람은 양을 배불리 먹일 땅을 잃는다. 공유하는 자원을 공짜란 생각에서 마구 쓰면 결국 아무도 쓸 수 없게 된다는 것을 경고한다.

공유경제는 인프라를 공동으로 이용해 자원 활용을 극대화하자는 개념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생긴 말이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2011년 ‘세상을 바꿀 수 있는 10대 아이디어’로 꼽기도 했다. 절대 나눠 쓸 수 없을 것 같은 집을 나눠 쓰는 ‘에어비앤비’가 각광을 받는 세상이다. 아마존닷컴 쇼핑몰이 초대형 서버를 하드웨어 투자 여력이 없는 스타트업 사업자들에게 개방해 보안·데이터베이스 시스템까지 갖춘 플랫폼으로 키워 낸 것도 공유경제의 값진 성과다.

최태원 SK 회장이 전국 3600여개의 SK주유소 인프라를 누구라도 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할 것이라고 한다. 전국 SK주유소의 부지와 사업구조, 마케팅 시스템을 활용하려는 사업자를 뽑아 수익을 공유하겠다는 것이다. 대기업이 자발적으로 사회와 상생의 길을 도모하겠다고 나선 것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유경제란 것은 신뢰와 상부(相扶)의 원칙이 지켜질 때 가능한 일이다. 한쪽이 믿음을 저버리면 사상누각이 될 수 있다. 중국의 따릉이 공유경제가 시사하는 바가 큰 이유다. ‘이익은 나눌수록 커진다’는 생각 대신 제 욕심만 챙기려 들다 보면 종국에는 인프라 제공자나 이용자 모두 패자가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박건승 논설위원 ksp@seoul.co.kr
2018-01-04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