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남북 오케스트라 합동 공연/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남북 오케스트라 합동 공연/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8-01-14 23:08
업데이트 2018-01-15 0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S교향악단은 1956년 서울방송관현악단으로 창단됐다. 1961년 한국교향악단, 1969년 국립교향악단으로 바뀌기도 했지만, 결국에는 KBS교향악단이라는 이름으로 돌아갔다. 한마디로 국가대표 오케스트라다. 북한의 조선국립교향악단이 중앙교향악단으로 출범한 것은 1946년이다. 두 악단은 2000년과 2002년 서울과 평양에서 합동공연을 가졌다.
외견상 남북 교향악단이 가장 다른 것은 악기 편성이다. 북한은 1956년부터 이른바 민족악기의 개량에 나서 1968년 평양대극장에서 열린 개량악기전시회에 모두 60종을 내놓기도 했다. 고음단소와 고음저대, 대피리, 저음피리, 대비파, 저비파, 장새납, 대해금, 소해금, 4현 아쟁, 라각 등이 그것이다. 행진음악 취타에 쓰던 라각은 과거 소라껍질로 만들었다.

민족악기의 개량에 따라 서양음악의 전통에 충실하던 북한의 교향악계도 배합관현악의 창작과 연주를 본격화한다. 조선국립교향악단의 대표 레퍼토리라고 할 수 있는 북한 작곡가 최성원의 1976년 작품 ‘아리랑환상곡’에도 장새납 독주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북한의 개량 악기는 서양 음계를 따랐다. 서양식 교향악단과 연주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따라서 배합관현악 작품은 일반 교향악단이 연주하기에도 큰 어려움이 없다. 2008년 지휘자 로린 마젤이 이끈 뉴욕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평양 연주회에서도 ‘아리랑환상곡’의 장새납 독주 부분은 피콜로가 대신했다. 장새납은 태평소를 개량한 것이다.

북한 교향악단이 과거 사회주의권의 다른 나라 교향악단과 다른 것은 특유의 레퍼토리다. 민족악기 개량과 배합관현악에 나선 것도 ‘서양악기를 민족악기에 복종시킨다’는 목표를 세운 데 따른 것이었다. ‘서양음악을 민족음악에 복종시킨다’는 목표와 다름없을 것이다.

북한 오케스트라가 서방 세계에 마지막으로 모습을 보인 것은 2012년 3월 14일이다. 정명훈이 지휘하는 라디오 프랑스 오케스트라와 파리의 플레이엘홀에서 합동 공연을 가진 것이다. 북한의 은하수관현악단은 가야금과 소해금이 협연하는 이른바 민족기악 2중주와 관현악 ‘비날론 삼천리’ 등을 연주했다고 한다.

남북은 오늘 평창동계올림픽에 북측 예술단 파견 문제를 협의하는 실무접촉을 갖는다. 북측 대표단에는 현송월 관현악단 단장과 김순호 관현악단 행정부단장도 포함됐다. 하지만 파리 공연 당시 은하수관현악단을 지휘한 윤범주는 막판 교체됐다. 남북 합동 공연 성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화가 아니길 바란다.

dcsuh@seoul.co.kr
2018-01-15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