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곽금주의 아빠 일병 구하기] 아이가 아빠를 끌고 간다

[곽금주의 아빠 일병 구하기] 아이가 아빠를 끌고 간다

입력 2018-02-23 17:26
업데이트 2018-02-24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학기다. 학년이 올라가고 새로운 학급을 배정받게 된다. 누구와 같은 반이 될지, 담임 선생님은 누구일지, 아이들뿐 아니라 부모 또한 긴장이다. 그런 분위기에서 아빠 또한 스트레스를 느낀다. 더군다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새로이 학교에 입학하게 되는 경우, 그 긴장은 최고조에 이른다. 무섭게 커가는 아이를 보면서 어쩌다 이런 끔찍한 상황이 일어나는 건지, 아빠는 한숨이 나온다.
이미지 확대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신학기에 부모의 감정은 들쑥날쑥 불안함이 엄습한다. 우리 아이가 제대로 해낼지에 대한 불안감이다. 가방을 메고 나가는 아이를 보면서 그리고 처음 교복을 입고 나가는 아이를 보면서 대견함과 함께, 마냥 어린아이로 남았으면 하는 바람 또한 밀려온다. 이 아이가 앞으로 힘든 이 세상을 어떻게 헤쳐나갈지에 대한 막연한 걱정과 슬픔이 밀려오기 때문이다.

실제로 심리학 연구들은 아이의 입학이 아빠에게는 슬픔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험한 세상으로 아이를 내보내는 것 같은 그런 슬픔이다. 특히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아빠는 더 크게 느낀다. 자신의 힘이 닿지 않는 세상으로 아이가 나가게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된다. 경제적으로 힘들고 심리적 지원이 적다 보니 이들은 사회에 대한 불신을 더 크게 가지고 있다. 이런 아빠들은 피해의식이 있기도 하고 무기력감을 더욱 느끼기에 그 불안 정도도 크다. 또한 많은 시간을 같이하지 않아 아이와 가깝지 않은 아빠 역시 막연한 불안감을 느낀다. 아이에 대한 파악이 부족해 아이의 적응력을 실제보다 과소평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의 입학은 아이뿐 아니라 아빠에게도 자극을 주는 사건이다. 아빠 또한 성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세상을 바라보는 데 있어 이미 한쪽으로 굳어진 아빠에게 아이의 호기심이나 질문들이 늘어나면서 아빠는 세상을 다시 보기 시작한다. 아이가 “왜?”라는 질문을 부쩍 많이 하는 시기가 있다. 이 많은 질문에 답하려면 아이와 같이 아빠도 모든 현상에 “왜?”라는 시각을 가져야 한다. 그러다 보니 이제까지 생각지 못했던 관점으로 세상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성인들은 자신도 모르게 규정이나 틀에 박힌 사고를 하게 된다. 때로는 이런 정형화된 사고가 일의 신속성이나 효율성을 높여 주기도 한다. 생각해 왔던 대로 생각하고, 느껴 왔던 대로 느끼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그러다 보니 예상치 못한 상황에 부닥치게 되면 이를 헤쳐나가는 데 필요한 유연성과 창의성이 부족하다. 그러나 아이와 이야기하다 보면 아빠는 휴면 상태에 놓인 사고방식을 작동해야 한다. 굳어질 대로 굳어진 사고가 아니라 아이 같은 자유로운 사고와 느낌을 가지게 된다.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는 사고의 융통성을 키울 수 있다. 그 결과로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여러 문제나 딜레마 상황을 더 잘 해결해 나갈 수도 있다.

이처럼 아이와의 상호작용이 아빠를 더 창의적이고 융통성 있게 만들어 준다. 사실 창의적인 사람이란 현재의 발달 수준만이 아니라, 잊고 있었던 이전의 발달 수준에 해당하는 작업도 가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만큼 작업 범위가 넓다는 거다.

다시 말해 창의성이란 이전의 아날로그식 방법도 사용하고 첨단 디지털 방법 모두를 동원할 수 있는 능력이다. 때로는 아이 같은 감정으로 때로는 고도의 인지적 사고 모두를 다룰 수 있어야 한다.

꽉 막힌 아빠를 뒤흔들면서 아이가 도리어 아빠에게 영향을 끼치게 된다. 생각하지 못했던 것을 깨닫게 되면서, 아빠는 원래 알고 있었던 지식이나 개념에 대해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된다. 생각하는 방식이나 세상을 보는 관점도 달라지고 인생의 의미에 대해서도 더욱 풍요로운 사고가 가능해진다. 아이들이 성장해 갈수록 이런 경험은 더욱 확장된다. 상급학교에 진학할수록 아이의 질문은 깊어지고, 아빠의 사고 또한 깊어진다.

이렇게 아이의 성장이 곧 아빠의 성장이다. 상급학교 진학이란 아이와 같이 아빠가 성장할 수 있는 기회인 거다. 아빠를 끌고 가는 그런 아이를 키우는 무한한 즐거움을 만끽해 보자.

신학기가 시작되면서 괜한 불안감보다 앞으로 일어날 신나고 도전적인 즐거움을 기대해 보자.
2018-02-24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