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황인숙의 해방촌에서] 친구 생각

[황인숙의 해방촌에서] 친구 생각

입력 2018-02-26 17:54
업데이트 2018-02-26 2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랩톱을 켜고 30분은 지나서 의자에 앉는다. 메모해 놓은 종이 한 장을 찾자고 여기저기 헤집느라 그랬다. 메모 내용도 대충 떠오르고, 또 이번 글에 꼭 필요할지 아닐지 모르는데 그 종이쪽을 찾아서 앞에 두어야 글을 시작할 수 있겠는 것이었다. 더이상 시간도 없어서 포기하고 돌아와 앉은 기분이 영 개운치 않다. 그래, 기억을 더듬어 써 버려야겠다. 글감이라면 나는 뭐 하나 버릴 줄 모르고 알뜰살뜰 바닥까지 긁어 쓰는 사람이다. 워낙 머리에 든 게 없고 만성피로로 매사에 감정이 무디어서 글감이 빈한하기 때문이다. 아무도 궁금해하지 않을 실토는 그만 늘어놓자.
이미지 확대
초등학교 4학년 때 아주 똑똑한 친구가 있었다. 영리해 보이는 반짝반짝 까만 눈이랑 야무진 입매의 살짝 비웃는 듯한 미소랑 딱 부러지는 어조의 목소리가 선하게 떠오른다. 책이 귀했던 그 시절에 그 애의 집에는 책이 어찌나 많던지 보물창고 같았다. 생활형편은 넉넉지 못한 측이었는데도 그랬다. 그 애의 엄마 아빠는 한 남쪽 지방의 인텔리 청년들이었는데 무슨 사상 문제가 걸려 쫓기듯 상경해서 가정을 이루었다고 들었다. 내 친구는 세 자매 중 장녀였다. 셋 다 똘똘했고, 특히 장녀의 출중한 똑똑함에 그 부모의 자부심이 하늘을 찌를 듯했던 기억이 난다. 매사 빈틈없는 그 애와 허점투성이인 내가 친하게 지낸 건 집이 걸어서 5분 거리였던 데다 둘 다 책을 좋아해서였다. 말이 통한다는 것으로 내가 그 애한테 낙점받았다고나 할까.
이미지 확대
황인숙 시인
황인숙 시인
나는 그런 게 있는 줄도 몰랐는데, 그 애는 4학년부터 참여할 수 있는 학교 신문의 기자였다. 어느 날 그 애가 말했다. “정원이(그 애 바로 밑 동생)가 ‘별’이라는 동시를 썼는데, 아주 잘 썼어. 신문에 싣자고 해야지.” 정원이는 1학년이었다. 바람결에 나는 알고 있었다. 4학년 작품부터만 학교 신문에 싣게 돼 있다는 것을. 그러냐고 표는 내지 않았지만 감탄과 부러움과 의혹이 뒤섞인 생각들이 스쳐 지나갔다. 이 친구에게 그런 권한이 있는 모양이구나. 그건 권력을 남용하는 부당한 짓이 아닌가. 이 친구는 학교에도 규칙에도 얽매이지 않고 자기 소신을 펼치는 사람이구나. 그 애의 부모가 그 애를 그렇게 기개 있는 사람으로 키운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에서, 좁게 잡으면 서울에서 그만큼 가난한 집의 아이가 그만큼 자기를 펼치며 사는 일은 전설이나 다름없어졌다. 정원이의 동시가 신문에 실렸는지, 신문이 나오기나 나왔는지 기억이 없다.

역시 그 애와 한 반이었던 5학년 때의 일화 하나. 한 국어 시간에 선생님이 숙제로 내줬던 글짓기를 걷어서 설렁설렁 읽어 보다가 내 글에 대해 짧게 언급하셨다. “아주 센티멘털하게 썼네.” 센티멘털하다는 그 글의 제목은 ‘쥐잡기’였다. 쥐덫 속의 쥐를 세숫대야 물에 잠기게 해 죽이는 광경을 보며 가엾어하는 내용이었다. 친구는 선생님이 뭔가 근사한 말로 내 글을 평했다고 여기고, 기억해 두었다가 엄마에게 물었다. “엄마, 섹스멘털이 무슨 뜻이에요?” 어린 딸 입에서 튀어나온 ‘섹스’라는 말에 깜짝 놀라는 엄마. 딸에게 자초지종을 들은 뒤에야 그 어머니는 안도의 미소를 띠며 제대로 알려 줬다고 한다. “센티멘털이겠지.”

그 애는 대학교 1학년 때 세상을 떠났다. 남자친구와 한남대교를 걷다가 바람에 날린 긴 머리칼이 트럭 바퀴에 말려들어 갔다. 남자와 여자가 찻길 옆을 걸을 때는 머리칼이 짧은 남자가 찻길 쪽에 서야 한다. 지금보다 훨씬 순수한 시절이었지만, 대학생이 되면서부터 친구는 현실에 상처받고 열패감 비슷한 감정을 느꼈던 것 같다. 학교도 직장도 다니지 않던 내가 그 애의 학교로 찾아간 적이 있다. 그 애 발에서 중고생이나 신던 소위 학생화, 감색 운동화를 보고 나는 킬킬 웃었다. 정말 생각 없는 짓이었다. 나는 친구가 소신껏 그 운동화를 신었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같이 웃을 줄 알았다. 그런데 그 애 얼굴이 샐쭉 일그러지며 굳었다. 대학교 학우들은 그때까지 알던 친구들보다 대개 부잣집 자식이고, 장학제도가 그리 발달하지 않은 때여서 그 애는 참으로 어렵사리 대학에 들어간 것이었다. 오랜 세월이 지난 뒤 정원이가 물었다. “언니가 살았으면 글 쓰는 사람이 됐을까요?”
2018-02-27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