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루게릭병 극복한 ‘인간정신의 승리’ 스티븐 호킹 박사 타계

루게릭병 극복한 ‘인간정신의 승리’ 스티븐 호킹 박사 타계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3-14 13:19
업데이트 2018-03-14 17: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향년 76세…우주본질을 통찰한 뉴턴·아인슈타인 잇는 대물리학자

전신이 굳어버리는 장애를 딛고 이 시대 최고의 물리학자로 활동한 스티븐 호킹 박사가 타계했다고 AFP,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이 14일 보도했다.
스티븐 호킹 박사. AP 연합뉴스
스티븐 호킹 박사.
AP 연합뉴스
전 세계 과학자들은 물론 각국 지도자들은 영국 출신의 호킹 박사 타계에 “위대한 인물이 세상을 떠났다”고 애도를 표시했다.

호킹 박사의 자녀들은 성명을 통해 부친의 별세 사실을 알리고 “그는 위대한 과학자이자 비범한 인물이었다”며 “그의 업적과 유산은 오래도록 남을 것”이라고 밝혔다.

가족은 또 “아버지는 평화롭게 세상을 떠났다”며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게 돼 큰 슬픔을 느낀다”고 전했다.

1942년생인 호킹은 루게릭병을 앓으면서도 블랙홀과 관련한 우주론과 양자 중력 연구에 기여했으며,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계보를 잇는 물리학자로 평가된다.

그는 ‘우주의 완전한 이해’를 목표로 삼아 대우주에 대한 상대성 이론과 소우주에 관한 양자이론을 통합하는 데 몰두했다.

1959년 17살의 나이로 옥스퍼드대에 입학한 그는 21살에 전신 근육이 서서히 마비되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이른바 ‘루게릭병’ 진단을 받았다.

의사들은 그가 불과 몇 년밖에 살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호킹은 휠체어에 의지한 채 컴퓨터 음성 재생 장치 등의 도움을 받아 연구활동을 이어왔다.

1965년 케임브리지대 대학원에 진학해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뛰어난 연구성과로 연구원과 교수 등을 거쳐 1979년부터 2009년까지 케임브리지대 루카시언 수학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이 자리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17세기 전설적인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이 맡았던 자리기도 하다.

호킹 박사는 2012년 물리학계의 노벨상으로 평가 받는 ‘특별 기초물리학상’을 받기도 했다.

1988년 발간한 대중 과학서 ‘시간의 역사’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로 등극해 세계적으로 1천만 권 이상 팔린 것으로 알려졌다.

학문적 업적 외에도 ‘스타트랙’과 ‘심슨가족’ 등 인기 TV 프로그램에 출연하거나 광고 목소리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해왔다.

호킹은 2014년 개봉된 자신의 전기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 것’에서 자신의 극적인 삶 일부를 공개하기도 했다.

정치적 성향에서 호킹은 영국 노동당을 지지해 왔으며 핵무기 감축 캠페인에도 동참하는 등 활발하게 사회에 참여했다.

호킹은 2013년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억압한다는 일부 학계의 비판을 수용하고 예루살렘에서 열린 회의를 보이콧하기도 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환경정책과 이민정책에 비판을 쏟아낸 전력도 있다.

호킹 교수는 생전에 두 차례 한국을 방문했는데, 1990년 9월 주간지 ‘시사저널’의 초청으로 3박 4일 일정으로 방한해 서울대와 신라호텔에서 ‘우주의 기원’과 ‘블랙홀과 아기우주’를 주제로 강연했다.

이어 2000년 8∼9월 고등과학원과 서울대 초청으로 세계 우주과학학술대회(COSMO-2000)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10박 11일 일정으로 다시 찾았다. 이때 청와대를 방문해 김대중 당시 대통령을 만나기도 했다.

그는 2006년 자신의 병에 대해 “일찍 죽을 것이라는 예상 속에 내 인생의 대부분을 살았다”면서 “그래서 시간은 나에게 언제나 귀중하다”고 말한 바 있다.

“하고 싶은 게 많고,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싫어한다”는 호킹은 지역의 자선 버스 캠페인에 참여하고 영국 국민건강보험(NHS) 민영화에 반대하는 등 사회문제에도 적극적인 목소리를 냈다.

지난해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과 관련해 “AI 기술은 인류 문명사에서 최악의 사건이 될 수 있다” “AI가 인간을 완전히 대체할지도 모른다” 등의 심각한 경고를 내놓기도 했다.

가정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케임브리지대학에서 만난 현대언어 전공자 제인 와일드와 결혼해 세 명의 자녀를 뒀지만 1991년 이혼했다.

이어 1995년 자신의 간호사인 일레인 메이슨과 재혼했지만 11년 만인 2006년 헤어졌다. 호킹 박사가 두 번째 부인으로부터 상습적인 폭행에 시달렸다는 증언이 나와 경찰이 조사했으나 호킹 박사는 이를 부인했다.

로이터 통신은 호킹에 대해 “자신은 조기 사망의 가능성이라는 그림자 아래에 일하면서도 삶의 가장 복잡한 질문을 설명하려 했던 인물”이라고 평했다.

동료 과학자들은 그를 ‘과학에 대한 새로운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인물’이라고 불렀으며, 그는 끊임없는 도전 속에 수명을 연장해가며 심각한 장애일지라도 생을 멈추게 할 수 없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해 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그의 이론은 우리와 세계가 탐사하던 우주의 가능성을 열어보였다”면서 “당신이 2014년 우주정거장에 있던 비행사들에게 말한 것처럼 슈퍼맨처럼 극미중력상태에서 계속 날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