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바이킹 벽 끝내 넘지 못한 ‘오벤저스’

바이킹 벽 끝내 넘지 못한 ‘오벤저스’

한재희 기자
입력 2018-03-16 22:38
업데이트 2018-03-16 23: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선 이어 4강도… 노르웨이에 6-8패

‘냉방 탓’ 달라진 빙판에 선수들 당황
9엔드에만 호그라인 반칙 세 차례
오늘 캐나다와 3·4위전 ‘동메달 사냥’
이미지 확대
환호 옆 아쉬움
환호 옆 아쉬움 한국 대표팀의 서순석(앞)이 16일 강원 강릉 컬링센터에서 열린 평창동계패럴림픽 휠체어컬링 준결승 연장 9엔드 마지막 투구를 실패하며 6-8 패배가 확정되자 허망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노르웨이 여자 선수는 손을 들어 환호하고 있다.
강릉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많이 아쉽고 화가 나네요.”

경기를 마친 한국 휠체어 컬링팀의 주장 서순석(47)의 표정은 착잡했다. 노르웨이와의 평창동계패럴림픽 준결승에서 연장까지 가는 사투를 벌였지만 막판에 실수가 연달아 나오면서 허망하게 졌기 때문이다. 큰 무대에서의 부담감과 그동안 열세를 보였던 노르웨이에 대한 위축감이 빚어낸 결과였다.

‘오성(五姓) 어벤저스’는 16일 강원 강릉컬린센터에서 열린 4강전에서 노르웨이에 6-8로 패하며 동메달 결정전으로 밀렸다. 한국은 예선을 12개팀 중 1위(9승2패)로 통과하면서 역대 최고 성적인 금메달을 노렸지만 아쉽게 고개를 숙이게 됐다. 또 다른 준결승에서 중국에 3-4로 진 캐나다를 상대로 17일 오전 9시 35분 동메달을 노린다. 한국은 캐나다를 이번 대회 예선 4차전에서 7-5로 누른 적이 있다.

한국은 마지막 샷을 맡고 있는 차재관(46)의 컨디션 난조로 흔들리기 시작했다. 차재관은 예선 11경기에서 평균 63%의 샷 성공률을 보였는데 이날은 25%로 뚝 떨어졌다. 노르웨이와의 예선 8차전(2-9)에서 42%로 11경기 중 가장 저조한 샷 성공률을 기록한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그보다 안 좋았다. 결국 2-4로 뒤진 3엔드가 끝난 뒤 이동하(45)와 교체돼 벤치로 물러났다.

4-6으로 밀리던 8엔드에는 패색이 짙어 보였다. 네 개의 스톤을 던질 때까지 하우스에 단 하나의 스톤도 올리지 못했다. 그러던 중 상대 서드가 자신의 스톤을 하우스에서 제거하는 실수를 범했다. 곧이어 상대 스킵의 스톤은 하우스를 그냥 지나쳤다. 결국 서순석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마지막 스톤을 하우스에 올리면서 6-6 동점을 만들었다. ‘맏형’ 정승원(60)이 두 팔을 번쩍 들어 올릴 정도로 극적인 득점이었다.

힘들게 연장까지 끌고 갔지만 막판에 와르르 무너졌다. 투구가 경기장의 빨간 선(호그라인)을 넘지 못하는 장면은 좀처럼 나오지 않는데 한국은 9엔드에만 호그라인 반칙을 세 번이나 범했다. 경기 막판 냉방이 나오는 바람에 빙질이 조금 달라져 선수들이 어느 세기로 투구를 해야 할지 헷갈리며 당황한 것이다. 결국 서순석의 마지막 투구가 하우스를 그냥 지나치면서 2점을 내줬다.

백종철 감독은 “상대가 실수를 해줘서 기회가 왔는데 그것을 잡지 못해 아쉽다. 선수들이 긴장을 한 것이 가장 컸던 것 같다”며 “오늘 경기를 빨리 잊으라고 하겠다. 캐나다를 이번 대회 예선에서 이긴 적 있으니 이번에도 충분히 이길 수 있다”고 말했다.

서순석은 “4년 동안 많이 준비했는데 좋은 결과가 안 나온 것 같아서 아쉬움이 든다”며 “동료들에게 죄송하고 (국민들께서) 응원 많이 해주셨는데 보답이 안 된 것 같다. 아직 3~4위전이 남았기 때문에 컨디션 조절을 잘해서 반드시 유종의 미를 거두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신의현은 바이애슬론 남자 15㎞ 좌식 경기를 5위로 마쳤다. 49분20초70의 주행 기록만 보면 타라스 라드(49분03초60·우크라이나)에 이어 2위였다. 사격 스무 발 중 세 발을 놓쳐 3분 추가 벌칙으로 일을 그르쳤다. 1위 마르틴 플라이크(독일)는 한 발의 실수도 없었고 2위 대니얼 크노센(미국)과 3위 콜린 캐머런(캐나다)은 한 발씩 놓쳤다.

강릉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8-03-17 1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