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ICT산업, 타 산업과 융합해 신산업 창출해야/이상근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

[열린세상] ICT산업, 타 산업과 융합해 신산업 창출해야/이상근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

입력 2018-03-29 17:30
업데이트 2018-03-29 17: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상근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
이상근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
올해 초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이 개항했다. 개항 후 한 달 동안 162만명이 이용했고, 출국 승객의 36%가 ‘셀프체크인’ 서비스를, ‘셀프백드롭’ 서비스의 활용은 11%에 이르렀다. 기존 기술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승객 스스로 탑승권부터 수화물까지 해결하는 자동화, 지능화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ICT와 기존 산업의 융합은 산업 현장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포스코ICT는 광양제철소에 ‘스마트 팩토리’를 통해 공장 내 설비와 기계에 센서(IoT)를 설치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한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ㆍ예측이 가능하고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이 자가학습을 통해 최적의 제어 방식을 찾아내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981~1985년 한국의 ‘총생산액 대비 제조업 비중’에서 1차금속(11.1%), 화학(9.8%), 석유정제(9.7%)를 뒤이어 ICT가 4위(8.9%), 기계가 5위(3.9%)로 나타났다. 2011~2014년에는 ICT가 1위(22.2%)로 나타났으며, 기계산업은 순위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스마트 팩토리’는 제조산업과 ICT의 융합이 핵심이라는 점에서, ICT와 함께 기계 및 장비산업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기계 및 장비산업은 산업용 로봇, 자동화 기기, 기계 요소 및 장비, 산업별로 특화된 가공기계 제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자동화, 신소재, 센서 기술 개발 등 제조산업을 위한 설비 기반을 제공하는 핵심 산업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핵심적인 산업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WIOD(World Input-Output Database)가 제공하는 세계산업연관표를 통해 한국, 미국, 독일, 일본의 ICT 산업과 기계 및 장비산업에 대한 산업연관구조분석을 하여 전후방유발효과를 비교·분석했다. ICT 산업은 4개국 모두 후방유발효과에 비해 전방유발효과가 약 1.8배 높게 나타났다. 이는 ICT 산업의 산출물이 타 산업으로 공급되는 측면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방유발효과는 ICT 제조 비중이 높은 한국과 일본이 크게 나타났으며, 미국은 제조 비중이 작아지면서 후방유발효과가 역시 계속 낮아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2000년에서 2014년까지 계수가 모두 1을 상회해 가장 높은 후방유발효과를 보였으나 MB 정부 이후 계수가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이는 ICT 제조 기업들의 해외 진출이 가속화되면서 국내 제조 비중이 작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ICT 산업의 전방유발효과는 일본이 가장 높고 ICT 서비스 부문에 강점을 지닌 미국도 높다. 미국은 2000년 2.2297로 압도적인 전방유발효과를 보였으나, 2014년 1.7953으로 낮아졌다. 반면 일본은 2000년 2.0471로 미국보다 낮았으나 2014년 1.9337을 유지해 높았다. 이는 2001년 ICT 국가 전략인 ‘e-재팬’을 수립해 꾸준히 실행하는 한편 2014년 기준 통신 서비스 R&D에 미국의 98.7% 수준인 37억 1000만 달러를 투자하는 등 서비스 부문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기계·장비산업은 4개국 모두 후방유발효과가 전방유발효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후방유발효과는 각국이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한국과 일본이 상대적으로 조금 더 높았고, 전방유발효과는 한국만 2005년부터 1 이상으로 상당히 높은 계수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한국 자동차산업의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ICT 서비스산업을 강점으로 전방유발효과가 높은 반면, ICT 산업의 후방유발효과나 기계·장비산업의 파급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러므로 4차 산업혁명 대비 막강한 클라우드와 컴퓨팅 파워를 활용한 글로벌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조업 혁신을 이루고자 하는 현재의 미국 전략은 적절해 보인다.

한국은 ICT 산업과 기계·장비산업의 전후방효과 파급효과가 높으나, ICT 산업의 전방유발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즉 ICT 제조 부문에 비하여 서비스 부문의 성장이 느리므로 서비스 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기계·장비산업과의 융합을 강화해 생산유발 효과를 더 높여야 한다. 이를 통해 낮아지고 있는 ICT 산업의 산업파급 효과를 높이고 타 산업과의 융합으로 새로운 산업을 창출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2018-03-30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