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장관의 책상] 바이오 연금술의 발견, ‘언더 더 시’/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장관의 책상] 바이오 연금술의 발견, ‘언더 더 시’/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입력 2018-04-12 17:56
업데이트 2018-04-13 0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90년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며 흥행했던 애니메이션 ‘인어공주’는 극중 바닷가재인 세바스찬이 불렀던 ‘언더 더 시’(Under the Sea)라는 곡으로 한층 더 유명세를 타게 됐다. 지금도 노래 한 소절만 들으면 인어공주와 함께 바닷속에서 춤추는 문어와 형형색색의 열대어 등 수많은 해양 생물이 떠오르는 걸 보면 실로 그 영향력이 대단했음을 알 수 있다.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지구 표면적의 75%를 차지하는 바다에는 인어공주의 친구들뿐만 아니라 수많은 생명체들이 살고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바다에 살고 있는 해양 생물은 30만여종으로 지구상 모든 종의 5분의1가량이다. 하지만 심해저에서의 서식 확인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면 이보다 훨씬 더 다양한 종이 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 해양 생물은 때론 약으로, 혹은 각종 에너지로 활용되면서 몸값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멍게 추출물은 난소암 치료제로 개발됐고, 모르핀보다 100배 강한 진통제가 청자고둥 독에서 만들어졌다. 해조류로 만든 수술용 봉합사와 붕대는 의약품 소재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 때문에 수많은 국가들이 해양 생물 자원을 활용한 바이오산업의 가치를 확인하고 관련 연구와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5년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을 개관해 해양수산 생명 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짧은 기간이지만 자원관은 이 분야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다양한 자원을 확보했다. 신소재 개발에 필요한 유용 후보 물질을 새롭게 발굴하고 이를 바이오 업체에 분양했으며, 개발된 기술은 민간 기업 이전을 통해 해양바이오산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최근 국가 자원에 대한 안보가 강화되면서 다른 나라 생명자원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지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8월 발효된 ‘나고야 의정서’는 다른 나라 자원을 해외로 반출하려면 자원 보유국의 승인을 받도록 하고, 해외 자원을 활용해 신약·신소재를 개발한 경우 자원 보유국과 그 이익을 공유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 바이오 기업들은 상품 개발에 활용할 자원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조사 없이 주권 없다’는 각오로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의 ‘자원 소재은행’ 기능을 더욱 강화해 국내 바이오 기업들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먼저 자원 조사 범위를 기존 연안에서 배타적경제수역(EEZ)까지 확대해 우리 해역에 서식하는 생물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신소재·의약품 개발 등에 활용되는 자원을 대량으로 배양해 업계에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2021년까지 해양 생물 자원에서 유용단백질, 유전자원 등을 추출하는 사업도 함께 진행해 관련 업계가 이를 원활히 공급받을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오는 20일이면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개관 3주년을 맞이한다. 해양수산 생명 자원의 관리 기관으로서 기대가 크다. 과거 고려 사신인 문익점이 목화씨 하나로 우리 민족의 의복 문화에 혁신을 가져온 것처럼 바닷속 자원 하나가 세계 바이오산업을 선도하는 날이 하루빨리 다가오기를 기대해 본다.
2018-04-13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